하바, 멀티 체인 디지털자산 브릿지 ‘하바 미터’ 정식 출시

BTCC



하바가 멀티 체인 디지털 자산 브릿지 ‘하바 미터’를 정식 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하바는 여러 체인에서 발행된 디지털 자산을 자유롭게 이동하고 사용할 수 있게 해 사용성을 확장하고 가치를 증가시키는 인터체인 플랫폼이다. 하바 미터는 여러 체인에서 발행된 디지털 자산을 이용자가 간편하게 서로 다른 블록체인을 연결(브릿징) 할 수 있는 서비스다. 기존 대부분의 브릿징 서비스가 대체가능토큰(FT)에 집중하고 있는 것과 다르게 하바 미터는 FT와 대체불가토큰(NFT) 모두 브릿징이 가능하다.

관련기사 쟁글, 인터체인 플랫폼 ‘하바‘ 밸리데이터 합류

하바 미터에는 현재 이더리움(ETH), 베이스(BASE), BSC(BNB), 폴리곤(POL), 카이아(KAIA), 위믹스(WEMIX) 등 주요 이더리움가상머신(EVM) 네트워크들이 연결되어 있다. 솔라나(SOL), 앱토스(APT), 엑스플라(XPLA) 등 EVM이 아닌 네트워크의 연결 테스트도 마친 상태다. 정식 버전에서는 하바 미터 서비스에 직접 접속하지 않더라도 각 프로젝트의 웹·앱 서비스에서 원클릭 브릿징을 실행할 수 있는 API를 제공한다.

하바는 이전에도 하바 미터를 통해 롯데 벨리곰 NFT를 클레이튼에서 폴리곤으로 마이그레이션하는 협업을 진행했다. 알타바 NFT의 이더리움과 폴리곤 멀티 체인 서비스 협업도 진행한 바 있다. 지금까지 하바 미터를 통해 약 8만 건 이상의 브릿징이 진행되었다.

하바 팀은 이번 하바 미터 정식 버전 출시를 통해 더 많은 웹3 팀들과 이용자들에게 체인의 장벽이 없는 블록체인 활동이 가능하도록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먼저 하바 네트워크에 온보딩 예정인 Batching.ai에서 하바 미터 서비스를 적극 도입할 예정이다.

임영광 하바 CEO는 “세상에 많은 블록체인들이 계속해서 등장하고 있다. 하바 팀은 다양한 블록체인을 연결하고, 디지털 자산이 자유롭게 사용되는 것을 목표로 한다”라며 “멀티 체인 서비스를 지향하는 팀들과 계속해서 체인의 장벽이 없는 협업을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