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팟캐스트] 이제는 실용성이다: 투기 끝낸 웹3, TOKEN2049 두바이에서 인프라를 말하다

BTCC

토큰포스트: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입니다. 오늘은요, 그 타이거리서치에서 나온 TOKEN2049 두바이 컨퍼런스 분석 보고서 이걸 좀 깊이 파고들어 볼까 합니다. 요즘 이 암호화폐 시장 복잡하잖아요. 근데 지금 어떤 큰 변화가 있는지 저희가 핵심만 딱 짚어드릴게요.

진행자: 네 맞습니다. 이게 보니까 160개국 이상 또 1만 5천 명이 넘는 사람들이 모였다고 하더라구요. 그만큼 이 업계의 현재 그리고 미래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리였는데 가장 중요한 흐름은 이거 같애요. 뭐랄까 예전에는 정말 투기꾼들만 가득했던 서부 개척 시대 같다면 이제는 진짜 기반 다지고 건물 올리는 도시화 시대로 가고 있다. 이겁니다.

토큰포스트: 도시화 시대요 비유가 재미있네요. 그럼 그 도시화 시대의 가장 큰 특징이랄까 예전이랑 확 달라진 점 보고서에선 뭘 제일 강조하던가요

진행자: 역시 분위기죠 분위기 그 예전처럼 막 묻지마 추자 이런 거 있잖아요. 그런 투기적인 열기는 확실히 좀 가라앉았구요. 이제 시장에서는 아니 그래서 이걸로 뭘 할 수 있는데, 이게 진짜 가치가 있냐 이런 질문을 던지기 시작했어요. 단순히 뭐 기술이 새롭다 이게 다가 아니구요. 실제 세상에서 어떻게 쓰일 건지 음 또 지속 가능한 사업 도달은 있는지 이걸 증명해야 되는 거죠. 훨씬 성숙해졌어요.

토큰포스트: 아 그렇군요. 진짜 아이디어만 번뜩인다고 되는 시대는 이제 지났다 이런 말씀이시네요. 그런 맥락에서 보고서 보니까 스테이블 코인 역할 변화 이걸 되게 주목하던데요. 이건 어떻게 봐야 할까요? 그냥 유행은 아니라는 거죠.

진행자: 맞아요. 스테이블 코인은 이제 뭐랄까 단순한 이야깃거리가 아니에요. 이 디지털 도시의 진짜 필수 기반 시설이 된 거죠. 보고서에서도 이미 시장에서 그 쓰임새를 확실히 찾았다. 이렇게 평가하구요. 그래서 이제 관심은 어떤 스테이블 코인을 새로 만드냐 이걸 넘어서서요 누가 이 스테이블 코인을 써서 결제 시스템 그러니까 돈이 오가는 이 디지털 고속도로를 장악할 거냐 이걸로 옮겨갔어요. 뭐 솔라나 트론 티오엔 같은 플랫폼들이 이 주도권 잡으려고 지금 엄청 경쟁하고 있죠. 이게 앞으로 당신의 일상 결제가 어떻게 바뀔 수 있을지 보여주는 되게 중요한 단서라고 봅니다.

토큰포스트: 듣고 보니 진짜 중요해졌네요. 스테이블 코인이 근데 이런 도시화 시대에도 미래 기술에 대한 기대는 여전할 텐데요. ai 얘기도 많이 나왔다면서요 근데 보고서 보니까 현장 분위기는 조금 달랐다구요. 약간 온도차가 있었나요?

진행자: 네 그 ai가 컨퍼런스에서 다뤄진 비중 자체는 꽤 컸어요. 한 11% 정도 주요 주제였던 건 맞는데 근데 보고서를 보면 많은 참가자들이 그 현지 ai 열풍하고 실제 블록체인 기술이랑 이게 합쳐지는 그 수준 사이에는 아직 좀 간극이 크다 이렇게 지적했더라구요. 명확하게 이거다 하는 사용 사례도 좀 부족하고 또 이거 혹시 또 투기적인 거품 아니냐 이런 우려도 좀 있었구요. 네 물론 뭐 탈중앙화 ai 컴퓨팅 이런 거 장기적인 잠재력은 다들 인정하는 분위기예요. 다만 이게 당장 우리 생활을 막 바꿀 혁신이라기보다는 조금 더 긴 호흡으로 봐야 하는 뭐랄까 미래의 청사진 이 정도로 받아들이는 느낌이었어요. 그래서 당신이 ai 관련 프로젝트를 볼 때도 단기적인 그런 과대 포장이랑 진짜 장기적인 가치를 좀 구분해서 볼 필요가 있겠죠.

토큰포스트: 그렇군요. 실용성이 중요해지는 도시화 단계에선 ai도 아직은 좀 기초 공사 중이다. 뭐 이렇게 볼 수도 있겠네요. 근데 진짜 흥미로운 건 보고서에서 기술적으로 아무리 뛰어나도 시장에서 외면받을 수 있다. 이렇게 지적한 부분이에요. 이건 좀 기존 생각과는 다른 이야기잖아요.

진행자: 바로 그겁니다. 그게 이번 컨퍼런스에서 드러난 또 하나의 중요한 변화라고 생각해요. 보고서에서도 이제 기술적 우위 이거 하나만으로는 성공을 보장 못한다. 이렇게 딱 잘라 말하더라구요. 어떻게 시장에 진입할 건지 사용자들한테는 어떻게 다가갈 건지 또 유동성은 어떻게 확보할 건지 이런 시장 전략 유통 전략이 기술 자체만큼 아니 어쩌면 그 이상으로 중요해졌다는 거죠.

토큰포스트: 전력이 더 중요하다니

진행자: 네 그 FTX 사태 때문에 엄청 타격 입었던 솔라나 생태계 있잖아요. 고기가 오히려 뭐 기술적인 논쟁보다는 실제 사용 사례나 전략 이런 걸로 이더리움보다 더 많은 주목을 받았다는 게 좋은 예시예요. 시장이 이제 먼 미래의 가능성보다는 지금 당장 뭘 보여주느냐 얼마나 시장에 잘 맞느냐 여기에 더 큰 점수를 준다는 뜻입니다.

토큰포스트: 아 진짜 오늘 쭉 정리해보니 정말 큰 변화의 흐름이 느껴지네요. 타이거리서치 보고서를 통해 본 토큰 2049 두바이는 암호화폐 산업이 그야말로 투기의 시대를 넘어서 실용성 인프라 이걸 갖춘 도시화 시대로 확실히 들어가고 있다. 이걸 보여준 것 같습니다. 특히 스테이블 코인이 핵심 인프라로 딱 떠올랐고 ai는 좀 길게 봐야 하고 기술보다는 시장 전략이 생존의 열쇠가 됐다. 이 점들이 참 인상 깊네요.

진행자: 정확합니다. 그 보고서 표현을 빌리면 낭만의 시대는 이제 끝났다는 거죠. 이제 웹3 생태계는 진짜 현실 세계의 가치를 증명하고 성과를 내야 하는 그런 성숙 단계에 접어든 겁니다. 그래서 이 분석을 바탕으로 당신에게 마지막으로, 한번 질문을 던져보고 싶어요. 이 도시화가 계속 진행되면 앞으로 당신의 일상에 정말 없어서는 안 될 그런 블록체인 기반의 필수 서비스는 과연 뭘까요? 어떤 서비스가 우리 삶의 일부로 깊숙이 자리 잡게 될지 한번 생각해 보시는 것도 재미있을 것 같습니다.

토큰포스트: 이상 토큰포스트 팟캐스트였습니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