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스캔] 테더에 쏠린 자금…국내 코인시장, 순매수·등락률 상하위 종목 분석

BTCC

5월 25일 0시 30분 기준 국내 암호화폐 시장은 전반적으로 혼조세를 보이는 가운데 일부 종목은 뚜렷한 변동성을 나타냈다. 주요 거래소에서는 안정적인 자산에 대한 매수세가 지속되며 시장 방향성을 제한하는 모습이다. 특히 업비트에서 테더(USDT)를 비롯한 주요 암호화폐에 매수세가 집중되고 있다.

순매수 상위 종목에서는 테더(USDT)가 가장 강한 매수세를 기록하며 현금성 자산에 대한 선호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어 이더리움(ETH)과 비트코인(BTC), 리플(XRP), 오니(FIL) 순으로 집계되며 주요 대형 자산에 자금이 몰린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시장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잔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급상승률 종목 중에서는 보안파이(SOFI)가 빗썸에서 가장 큰 폭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어 보아(BOA) 역시 빗썸에서 두 자릿수 급등을 보이면서 투자자 관심을 끌었다. 상승폭만 놓고 보면 코인원 상장 종목이 주도적인 흐름을 보였지만, 거래소별로는 빗썸에서의 강세 종목이 상대적으로 주목됐다. 보난자랩 데이터에 따르면 이러한 단기 급등 흐름은 거래량보다는 투자 심리 변화에 따른 움직임으로 분석된다.

반면, 급하락률 종목에서는 넥스퍼시클(NXPC)이 빗썸에서 가장 큰 낙폭을 보이며 투자자들에게 우려를 주었다. 이어 스톰엑스(STMX)와 NFT, 모두 빗썸에서 이뤄진 거래로 확인되며 해당 거래소에서의 개별 종목 리스크가 시장에 반영된 모습이다. 전체적으로 급락 종목은 뚜렷한 상승 이후 차익 실현 매물이 집중된 결과로 해석된다.

거래대금 상위를 살펴보면, 업비트에서는 비트코인(BTC), 리플(XRP), 넥스퍼시클(NXPC), 웹체인(WCT), 아더(ARDR) 등의 거래가 활발히 이뤄졌다. 여전히 대형 자산 중심의 거래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일부 중소형 종목의 단기 급등세도 거래대금을 견인했다. 이는 충분한 유동성과 기관성 매수세의 진입 가능성을 열어 둔 상황으로 보인다.

현재 시장은 매수세가 특정 자산에 집중되며, 과도한 추격보다는 안정적 전략이 요구된다. 단기 급등 종목에 대한 추세 판단은 신중해야 하며, 전체 시장 흐름을 감안한 분산 투자 전략이 적합하다. 변동성 장세에서 투자자들은 수급 및 거래량 지표를 면밀히 관찰함으로써 비이성적 흐름을 피해갈 필요가 있다.

암호화폐가격등락률거래소보안파이(SOFI)18.8550.35빗썸내셔널팬츠(NFP)47.342.47코인원디메일(DMAIL)150.036.36코인원볼트이노베이션스(VOLT)0.0004033.33코인원보아(BOA)15.2220.47빗썸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