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민은행이 디지털 위안화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 픽사베이]
[인포진 AI리포터]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7.2달러 이하로 고정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응하고 있다고 8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비트코인 분석가들은 10년 전과 유사한 흐름을 예상하며, 위안화 가치 하락이 BTC 강세로 이어질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이날 중국인민은행(PBOC)은 위안화 환율을 7.2038달러로 고정하며, 2022년 이후 처음으로 7.2달러선을 넘겼다. 이는 중국이 수출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한 조치로 해석되며, 위안화 가치 하락이 비트코인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마커스 틸렌 10x리서치 창립자는 "미국이 중국에 대한 경제적 압박을 강화하면, 중국이 통화 완화 정책과 위안화 평가절하로 대응할 가능성이 크다"며 "2015년과 마찬가지로 중국이 자본 유출을 허용하면 비트코인 강세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당시 중국이 위안화를 1.9% 평가절하한 후 비트코인은 4개월 만에 60% 급등한 바 있다. 벤 저우 바이비트 창업자도 "위안화 가치 하락은 비트코인 강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중국의 강력한 암호화폐 규제가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올해 초 발표된 규제에 따르면 은행은 암호화폐 관련 국제 거래를 감시하고 보고해야 하며, 위반 시 금융 제재와 블랙리스트 등 강력한 조치가 뒤따를 수 있다. 마커스 틸렌은 "중국 대법원이 암호화폐를 통한 자본 유출에 대한 법적 위험을 대폭 강화했다"며 "경제적 불확실성 속에서도 암호화폐 거래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중국의 위안화 하락이 비트코인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과거 사례와 유사할 수 있지만, 강력한 암호화폐 규제가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