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BTC), 10만 달러 붕괴 위기…6억 달러 롱 청산 쓰나미

BTCC

비트코인(BTC)이 심각한 가격 위기를 맞고 있다. 지난 24시간 동안 암호화폐 시장에서는 약 6억 3,900만 달러(약 8,865억 원) 규모의 롱 포지션이 강제 청산되며, BTC는 주요 지지선인 10만 달러선 근처까지 급락했다. 이 같은 급변은 투자 심리를 크게 흔들며, 시장 전반에 피의 물결과도 같은 혼란을 낳았다.

이번 강제 청산은 총 8억 7,800만 달러(약 1조 2,199억 원)에 달했다. 이에 따라 무려 22만 7,000명 이상의 트레이더들이 포지션을 잃었으며,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이 중 약 90%는 상승장에 베팅한 롱 포지션 투자자였다. 일종의 ‘청산 쓰나미’라 불리는 현상이 주말 거래 시간 후반부에 발생하면서 비트코인은 단 몇 분 사이 약 10만 2,800달러에서 10만 달러 근처까지 폭락해 핵심 지지선을 위협했다.

이러한 하락은 단순한 가격 조정이 아니다. 10만 달러는 암호화폐 시장에서 기술적으로나 심리적으로 의미가 큰 수준이며, 이 선이 무너지면 추가 하락과 매도 압력이 본격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크다. 특히 전통 금융시장이 다시 열리는 시점에 유동성 위기가 실현될 경우, 시장의 불안정성은 더욱 증폭될 가능성이 있다.

청산 규모로 보면 이더리움(ETH)이 3억 5,654만 달러(약 4,955억 원)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고, 비트코인이 1억 9,289만 달러(약 2,681억 원)로 그 뒤를 이었다. 그 외 솔라나(SOL)는 4,547만 달러(약 632억 원), XRP는 3,291만 달러(약 457억 원)의 청산이 발생했다. 알트코인 전반에서도 9,300만 달러(약 1,293억 원) 이상의 청산이 이뤄져, 전체적인 약세장이 가속화되고 있다.

가장 큰 단일 청산은 HTX 거래소에서 이루어진 915만 달러(약 1,272억 원)어치의 ETH-USDT 포지션으로 확인됐다. 이처럼 대규모 청산이 연속으로 발생한 배경에는 최근 상승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누적된 데 따른 조정이라는 해석도 있다.

이번 사태는 암호화폐 시장이 아직도 높은 변동성과 취약성을 안고 있다는 점을 다시금 상기시킨다. 투자자들은 과도한 레버리지 사용과 시장 과열에 대한 리스크 관리의 필요성을 절실히 느끼는 시점이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