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반감기 [사진: 셔터스톡]
[인포진 AI리포터] 비트코인(BTC)을 보유한 기업 중 극소수만이 '죽음의 소용돌이'를 피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고 28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VC 기업 브리드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BTC 보유 기업이 지속 가능하려면 넷자산가치(NAV) 대비 높은 평가를 받아야 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파산 가능성이 높아진다.
보고서는 비트코인 보유 기업이 몰락하는 7단계를 설명했다. BTC 가격이 하락하면 기업의 MNAV(넷자산가치 대비 평가)가 떨어지고, 주가가 실제 NAV에 근접하게 된다. 이 경우 달러를 BTC로 전환하는 비대칭 거래를 유지하기 위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지며, 신용 경색과 부채 만기가 겹치면서 마진콜이 발생하고, 결국 BTC 매도가 이어져 시장 하락을 가속화한다. 보고서는 "이런 악순환이 다음 암호화폐 약세장을 촉발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대부분의 BTC 보유 기업이 부채보다는 주식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어 시장 충격이 제한적일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하지만 향후 부채 기반 자금 조달이 증가하면 상황이 달라질 수 있다. 현재 250개 이상의 기업과 기관이 비트코인을 보유하고 있다.
BTC 보유 기업의 미래는 자금 조달 전략에 달려 있다. 과연 몇몇 기업만이 '죽음의 소용돌이'를 피할 수 있을지, BTC의 기업 활용 모델이 장기적으로 지속 가능할지 지켜볼 일이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