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ETF 허용에 앞서 가상자산 인프라 육성 시급’

BTCC

14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K-비트코인 현물 ETF 컨퍼런스’에서 참석자들이 패널 토론을 진행하고 있다./사진=도예리 기자주요 대선후보들이 잇따라 가상자산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허용 공약을 내놓는 가운데 업계에서는 제도보다 인프라를 먼저 구축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외화 기반 비트코인(BTC) 조달이 어려운 구조에서 상품 설계만 허용할 경우 김치프리미엄 심화 등 부작용이 우려된다는 지적이다.이용재 미래에셋 수석 매니저는 14일 서울 여의도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K-비트코인 현물 ETF 컨퍼런스’에서 “ETF 운용에는 외환 거래가 가능한 프라임 브로커가 필수”라며 “국내 가상자산 시장에서 김치프리미엄을 최소화하려면 외화를 통한 해외 BTC 조달 경로부터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韓 상장사와 비트코인 편입전략 논의…2~3개월 내 한국판 스트래티지 나올 것” [비트코인서울 2025]”가상자산 현물 ETF, 비트코인 등 한정…직접투자보다 안정적” [비트코인서울 2025]미중 관세 인하에도 비트코인 10만 2000달러대 하락 미·중 협상 발표에도 알트코인 하락…비트코인만 소폭 상승 가상자산 시장에서 프라임 브로커리지는 기관투자자를 대신해 BTC를 대규모로 매입·송금·수탁·헷지하는 중개업체다. 자산운용사가 비트코인 현물 ETF를 설정하려면 실물 BTC를 사서 ETF에 편입해야 한다. 이때 프라임 브로커리지가 이때 수백억~수천억 원 규모의 자산을 적시에 조달하는 역할을 맡는다. 글로벌 시세에 맞춰 다양한 채널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에 BTC를 공급하는 것이 핵심 업무다. 자본이 충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기관이 맡는 것이 비트코인 ETF의 정상 운용을 위한 핵심 조건이다. 해외에서는 코인베이스 프라임, 팔콘엑스 등이 대표적인 가상자산 프라임 브로커리지 역할을 맡고 있다.현재 국내에서는 업비트나 빗썸 등 일부 거래소에 유동성이 집중돼 있다. 비트코인을 대량으로 확보할 수 있는 경로가 제한돼 있어 자산운용사가 ETF 설정을 하더라도 실물 매입 단계에서 병목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이에 국내에서는 웨이브릿지, 해피블록 등 일부 업체들이 프라임 브로커리지를 표방하며 산업 초기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오종욱 웨이브릿지 대표는 “비트코인 현물 ETF를 만들 때 실물을 어디서 조달할지, 국내에서 살지 해외에서 살지, 김치프리미엄은 어떻게 반영될지 등 실무적 쟁점을 면밀히 따져야 한다”고 말했다.프라임 브로커뿐 아니라 수탁과 신탁 구조까지 포괄하는 법제 정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정구태 인피닛블록 대표는 “가상자산을 직접 수탁하려면 신탁업자 지위가 필요한데, 현행 자본시장법상 비금융사 수탁업자가 신탁업에 진입하기는 사실상 어렵다”며 “신탁업자와 위탁 구조를 설계하거나,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수탁 진입장벽을 낮추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신용우 변호사는 “BTC를 ETF 기초자산으로 포함하고, 수탁 및 지수산출 요건을 명확히 규정하면 현행 법령 체계 안에서도 충분히 허용이 가능하다”며 “안정성 확보를 위해 시장 건정성 강화에 대한 논의가 같이 병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