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가운데)이 12일 오후 정보서울청사에서 열린 가상자산 업계 및 전문가 간담회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사진: 금융위원회]
[인포진 강진규 기자]금융위원회가 지난달 발표한 법인의 가상자산 시장 참여 허용과 관련해 4월가이드라인을 마련한다.
⦁“법인 가상자산 시장참여 위한 가상자산 거래소 가이드라인 4월 중 마련”
금융위는 12일 오후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가상자산 업계 및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금융위는 이번 간담회를 통해 법인의 가상자산시장 참여 로드맵(2월 13일 발표)과 관련해 검토 중인 세부 가이드라인 내용 등에 대한 업계 의견과 가상자산 정책 관련 기타 건의 사항을 논의했다.
김 부위원장은 최근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을 계기로 글로벌 가상자산 제도화 논의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 정부도 가상자산위원회를 중심으로 ‘이용자 보호’와 ‘가상자산시장 발전’을 위한 가상자산 제도 마련에 속도를 내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용자 보호 장치 중심으로 규율된 현행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에 더해, 스테이블코인, 사업자·거래규제 등을 아우르는 ‘가상자산 2단계 통합법’ 마련에 착수했으며, 토큰 증권 발행·유통 규율체계 정비(자본시장법 등 개정사항) 관련 입법 논의도 적극 지원하는 등 글로벌 규제 흐름을 반영해 가상자산 관련 입법 정비를 추진하고 있음을 밝혔다.
김 부위원장은 법인의 시장참여 로드맵의 추진 일정과 관련해 “관계기관 TF 등을 통해 비영리법인, 가상자산거래소는 4월 중 상장기업, 전문투자자는 3분기를 목표로 세부 가이드라인 마련을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국은행이 비트코인의 외환보유액 편입에 선을 그었다. 미국 정부가 비트코인을 전략 자산으로 비축하기로 한 데 이어 국내 정치권에서도 관련 논의가 이뤄졌지만, 정작 외환보유액을 관리하는 한은이 난색을 보인 것이다.
⦁한은 "비트코인 외환보유액 편입 신중해야"…첫 입장
한은은 16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의 서면 질의에 "비트코인의 외환보유액 편입에 신중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친(親)암호화폐 성향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 셔터스톡]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가족이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미국 법인에 대한 지분 확보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13일(현지시간) 경제매체 CNBC가 보도했다.
⦁트럼프 가족, 바이낸스 美 지분 인수 검토…BNB 4% ↑
미국 법인을 두고 있는 바이낸스는 자오창펑 전 최고경영자(CEO)가 설립한 중국계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다. 자오창펑은 자금세탁 등 혐의로 지난해 5월 미국 법무에 기소돼 징역 4개월을 선고받았다.
1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백악관 디지털 자산 대통령 실무 그룹 책임자인 보 하인즈(Bo Hines)는 최근 비트코인 관련 정책 비공개 회의에서 "미국 정부가 가능한 한 많은 비트코인을 확보해야 한다"라고 발언한 것으로 알려졌다.
⦁美 암호화폐위원장 "최대한 많은 BTC 확보해야…전략비축 법제화 추진"
이 회의는 지난 7일 개최된 크립토 서밋의 일환으로 진행된 것으로, 당시 이 자리에는 마이클 세일러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래티지) 회장, 프레드 티엘 마라 홀딩스 최고경영자(CEO) 등을 포함한 여러 비트코인 업계의 인사들이 참석했다. 또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 등 3명의 미국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도 자리를 지킨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이 투자자들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지난달 암호화폐 거래량이 급감했다고 13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올 2월 암호화폐 거래량 20%↓…트럼프 관세 위협 영향
코인데스크 데이터의 최신 거래소 리뷰에 따르면, 2월 중앙화 거래소의 현물 및 파생상품 거래량은 21% 감소해 7조2000억달러로, 지난해 10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미국 상원 은행위원회가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을 통과시켰다고 코인데스크가 1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美 상원 은행 위원회, 민주당 반발 속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 통과
법안은 미국 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들에 대한 연방 차원 규제를 도입하는 것이 골자. 전체 상원 승인이 남아 있으며 하원에서도 유사한 법안이 심사 대기 중이다.
최근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밈코인 관련 지침은 많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고 10일(이하 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가 전했다.
⦁美 SEC "밈코인 증권 아니다"…암호화폐 시장 영향은?
지난달 27일 SEC는 밈코인을 인터넷 밈, 캐릭터, 현재 사건 또는 트렌드에서 영감을 받은 디지털 자산으로 설명하며, 일반적으로 증권으로 판매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데이비드 삭스(David Sacks) [사진: 테크크런치 | Flickr]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미국의 AI 및 암호화폐 정책을 본격 추진하는 가운데, 이를 총괄하는 데이비드 삭스가 2억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자산을 매각했다고 14일(현지시간) 경제매체 CNBC이 알렸다.
⦁ 美 암호화폐 차르, 입각 전 2억달러 규모 암호화폐 매각
미국 백악관은 데이비스 삭스가 정부에 합류하기 전, 개인 자산 8500만달러를 포함해 크래프트벤처스를 통해 수억달러 규모의 암호화폐 투자를 청산했다고 밝혔다. 삭스의 자산 정리는 트럼프 행정부 내 다른 고위 관료들과 비교해 이례적으로 투명한 조치로 평가된다.
세계 외환 보유고에서 달러 비중이 약 60%에 달하지만, 일부 국가들안 대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비트코인·스테이블코인 채택 확산, 달러 지위 위협할까?
오랫동안 세계의 주요 준비 통화로 자리잡았던 미국 달러가 지리적·경제적 변화와 금융 제재 우려로 인해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는 얘기도 있다.
러시아는 서방 제재로 SWIFT 결제망에서 배제되면서 비트코인과 같은 디지털 자산을 활용한 국제 거래를 늘리고 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과 스테이블코인의 채택이 증가하면서 ‘탈달러화’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는 전했다.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 블랙록이 56만7000개 이상 비트코인을 보유하며 암호화폐 시장 내 영향력을 강화하고 있다. 블랙록 비트코인 보유 가치가 478억달러넘어섰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블랙록, 비트코인 보유량 56만7000개 돌파…478억달러 상당
아컴 인텔리전스 데이터에 따르면 블랙록은 최근에도 비트코인을 추가 매입했다. 14일 코인베이스 프라임 지갑에서 268비트코인(약 2200만 달러)가 아이셰어스 비트코인 ETF(iShares Bitcoin ETF(IBIT) 지갑으로 이전된 것이 확인됐다.
뉴욕 증시에 상장된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자금 유출이 중단됐다고 13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비트코인 ETF 순유입 전환…이더리움 ETF 6거래일 연속 순유출
파사이드 인베스터스에 따르면 전일 비트코인 ETF에는 전체적으로 1330만달러 순유입을 기록하며 약 5일 만에 자금 유출 행진을 멈췄다. 다만 1330만달러는 비트코인 ETF 출시 후 일 평균 순유입(1억2150만달러)에 한참 못 미치는 수치다.
이더리움 [사진:셔터스톡]
이더리움은 지난 3개월 동안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수준의 매도량을 기록했다.
⦁이더리움, 3개월 연속 폭풍 매도세…5년 만에 최고치
13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이더리움-비트코인(ETH/BTC) 비율은 5년 만에 최저치로 떨어졌으며, 4년 복합 연평균 성장률(CAGR)은 비트코인 대비 부정적이다.
ERC-20 표준을 적용한 토큰들 합산 시장가치가 이더리움(ETH) 시가총액을 넘어섰다. 온체인 데이터 제공업체 울트라사운드머니에 따르면,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보유한 총 자산 가치가 5000억달러를 상회한 가운데 이 중 51%는 ERC-20 토큰, 46%는 ETH, 2.5%는 NFT가 차지했다.
⦁ ERC-20 토큰 시총, 이더리움 추월…팻 프로토콜 가설은 틀렸나?
ERC-20 토큰 총 시가총액은 약 2610억 달러로 집계되며, ETH 시총 2370억달러를 넘어섰다.특히 상위 세 개 토큰인 테더(USDT, 1430억 달러), 바이낸스코인(BNB, 830억 달러), USD코인(USDC, 580억 달러)이 전체 ERC-20 시총 55%를 차지했다.
파산한 암호화폐 거래소 마운트곡스가 약 9억500만달러(약 1조3000억원) 상당의 비트코인을 미표시 지갑으로 옮겼다고 10일(이하 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 블록이 전했다.
⦁마운트곡스, 1조원 상당 비트코인 이체…목적 불명
마운트곡스는 이날 총 1만1833.64 BTC를 이체했으며, 이 중 대부분은 '1Pazv…R9pYj'라는 미표시 지갑으로 보내졌고, 약 332 BTC는 마운트곡스의 웜 지갑으로 이체됐다.
인플레이션 문제를 개선하려는 솔라나 시도가 실패함에 따라 현재 연 4.7% 수준 스테이킹 보상이 유지된다.
⦁솔라나 인플레이션 구조 개편 무산…현행 스테이킹 보상 유지
솔라나가 인플레이션 체계를 시장 기반 시스템으로 전환하려던 안건이 투표에서 충분한 지지를 얻지 못했다고 코인데스크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위믹스 시장 매수 추가 계획 안내 [사진: 위믹스 공식 홈페이지 갈무리]
위믹스가 지난달 발생한 해킹 사고로 인한 시장 영향 해소를 위해 100억원 규모의 코인 매수(바이백)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위믹스, 100억원 규모 바이백 계획 발표…"해킹 피해 복구·시장 신뢰 회복"
13일 위믹스 팀은 공식 채널을 통해 "위믹스 플레이 브릿지 자산 탈취에 따른 시장 영향 해소와 시장 신뢰 회복을 통한 위믹스 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100억원 규모의 위믹스 코인 바이백이 진행된다"고 밝혔다.
이어 위믹스는 2000만개 규모의 위믹스 코인 추가 매수 계획을 발표했다.
⦁위믹스, 2000만개 추가 매수 계획 발표…"생태계 안정화 도모"
14일 위믹스 팀은 공식 채널을 통해 위믹스의 가치 제고 및 생태계 안정화를 위해 새로운 시장 매수 계획을 밝히며 2000만개의 위믹스 코인을 추가로 매수하겠다고 공지했다.
법무법인 디엘지는 오는 4월 2일 오후 2시 드림플러스 강남 지하 1층 이벤트홀에서 ‘블록체인 사업 해외 진출: 해외 크립토 시장 현황과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세미나를 개최한다.
⦁법무법인 디엘지, 블록체인 해외 진출 세미나 4월 2일 개최
이번 세미나는 미국 트럼프 정부의친 크립토 정책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블록체인 시장에서 각국의크립토 시장 성공 사례와 실무 인사이트를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가상자산 거래소 코빗이 사용자 편의성을 극대화한 대규모 모바일 앱 업데이트를 진행한다고 13일 밝혔다.
⦁코빗, 모바일 앱 대규모 업데이트
이번 앱 업데이트는 가상자산 거래에 꼭 필요한 핵심 메뉴인 ‘홈’, ‘자산’, ‘상품/투자’ 화면을 전면 개선하고, ‘입출금’ 탭을 메뉴에 추가한 것이 특징이다.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시장감시·미래기술 자문위원회'출범 및 임종인 위원장 위촉식 현장,임종인 대통령비서실 사이버특별보좌관(좌),김상민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대표이사(우)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Bdan, 비단)는 임종인 대통령실 사이버특별보좌관을 위원장으로 하는 ‘시장감시·미래기술 자문위원회가 출범했다고 10일 밝혔다.
⦁부산디지털자산거래소, ‘시장감시·미래기술 자문위원회’ 출범…위원장에 임종인 특보
비단 시장감시·미래기술 자문위원회(Bdan Market Surveillance & Emerging Technology Advisory Committee, Bdan-MSETAC)는 실물연계자산(RWA) 등 디지털자산을 거래하는 거래소 권한을 분리해 시장감시 체계와 미래기술 적용 방안을 수립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