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바이낸스
[InfoZzin]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가 아시아 전역의 사용자 약 3만 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사용자들의 전반적인 보안 의식이 크게 성숙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설문에 따르면, 응답자의 80.5%가 계정 보호를 위해 2단계 인증(2FA)을 사용하고 있으며, 73.3%는 송금 전 수취인 주소를 재확인하는 등 기본 보호 조치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러나 피싱 방지 코드와 화이트리스트 주소 같은 첨단 보안 도구의 사용률은 각각 21.5%와 17.6%로 낮게 나타났다. 거래 비밀번호를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에 저장하는 사용자도 35%에 달해 지속적인 개선과 교육이 필요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용자들은 거래소를 단순한 플랫폼이 아닌 보안 분야의 중요한 파트너로 기대하고 있었다. 특히, '거래소에서 가장 강화됐으면 하는 보안 요소'로는 62.5%가 '고위험 거래의 실시간 위협 차단'을 꼽았으며, '악성코드 및 감염 기기 경고'(50.4%), '의심 주소 데이터베이스'(49.4%), '생체인증 통합'(47.2%) 등 다층적인 보안 대응 체계를 요구했다.
지갑 부문에서도 강력한 보안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높았다. 응답자의 62.8%는 탈중앙화 지갑에서 '개인 키 보호 기능 강화'를 원했고, '안전한 백업 및 복구 옵션'(50.4%), '해킹 공격 보안 알림 및 보호'(48.1%), '피싱 디앱 탐지'(47.5%) 등이 뒤를 이었다.
사용자들은 가상자산 스캠 정보를 주로 'X'(구 트위터, 57%), 텔레그램(51.2%), '페이스북'(46.5%)에서 접하고 있었으며, '인스타그램'(28.6%)과 '틱톡'(27.2%)에서도 노출되는 경우가 많았다. 일부 지역에서는 '왓츠앱'이 주요 플랫폼으로 사용되고 있어,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의 중요성도 강조됐다.
보안 교육과 관련해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전문성을 요하는 일반적인 가상자산 관련 자료를 이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많은 이들이 실사례 중심의 교육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61.3%는 거래소 주도의 사기 방지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바이낸스의 최고보안책임자(CSO) 지미 수는 "정교해지는 가상자산 이용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기술 제공을 넘어 인식 개선을 위한 교육까지 포함하는 종합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바이낸스는 사용자들의 높은 기대와 교육 수요에 부응하기 위해 맞춤형 콘텐츠를 확대하고, 실시간 위험 감지 시스템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바이낸스는 사용자 보호를 최우선 가치로 두고 매년 컴플라이언스 관련 투자를 늘리며, 650명 이상의 전담 인력을 통해 전 세계 법 집행 기관의 수사 요청에 협조하고 있다. 지난해에만 약 8,800만 달러 상당의 피해 자산 회수 및 동결에 기여했다.
권오성 기자
권오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