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브먼트, 퍼블릭 메인넷 출시…TVL 2억5000만달러 돌파

BTCC



무브먼트가 퍼블릭 메인넷 출시와 함께 총예치자산(TVL) 약 2억 5000만달러(약 3636억 7500만 원)를 돌파했다고 11일 밝혔다.

무브먼트는 메타(전 페이스북)가 개발한 프로그래밍 언어 무브를 기반으로 한 이더리움(ETH) 레이어2다. 이더리움의 보안성과 네트워크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무브 개발자의 생태계를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관련기사 무브먼트, 메인넷 베타 출시…MOVE 토큰 10억 개 분배무브먼트랩스 MOVE 토큰, 업비트·빗썸·코인원 일제히 상장무브먼트랩스 “韓 모바일 게임 시장 관심…‘MZ‘ 사로잡는다”[디센터 인터뷰]

무브먼트는 퍼블릭 메인넷 출시에 앞서 ‘코르누코피아’를 통해 약 2억 5000만달러의 초기 유동성 확보하고 네트워크 안정성을 강화했다. 코르누코피아는 새로운 네트워크가 유동성 부족 등으로 정상 작동하기 어려운 상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무브(MOVE), 스테이블코인 등 자산을 무브먼트 네트워크에 공급해 출시 첫날부터 원활한 거래 환경을 조성했다.

이번 퍼블릭 메인넷은 개발자뿐만 아니라 일반 이용자도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접근성을 강화했다. 주요 기능으로는 △무허가형 스마트 컨트랙트 배포 △일반 이용자 온보딩 및 참여 △이더리움 블록체인 거래 확정 속도 개선 △레이어제로공식 브리지 지원 등이 포함된다.

무브먼트는 지난해 12월 메인넷 베타 버전을 출시해 개발자 중심의 제한적인 환경에서 시범 운영을 진행한 바 있다. 당시 베타 버전은 개발자들에게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맞췄던 반면, 이번 퍼블릭 메인넷은 일반 이용자도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루시 만체 무브먼트 랩스 공동 창립자는 “퍼블릭 메인넷을 통해 누구나 개발자 승인 없이 스마트 컨트랙트를 배포할 수 있고, 다양한 이용자들이 무브먼트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다”라며 “무브 기반 기술과 이더리움의 네트워크 효과를 결합해 보다 안전하고 빠른 탈중앙화애플리케이션(DApp·디앱)을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