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파이 TVL 1160억 달러…연초 수준 회복

BTCC

탈중앙화 금융(DeFi, 디파이) 시장이 총예치액(TVL) 기준 연초 수준을 회복하며 뚜렷한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9일 오후 2시 30분 기준 디파이라마(DeFiLlama)에 따르면 디파이 생태계의 총예치액은 전일 대비 10.18% 증가한 1162억4800만 달러(약 163조원) 로 집계됐다.

이는 연초 기록(1172억2000만 달러)과 비교해 불과 0.83% 낮은 수준으로, 사실상 연초 고점 회복세에 근접한 흐름이다. 강한 시장 반등과 함께 디파이 내 자금 유입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모습이다.

체인별 디파이 점유율을 보면 ▲이더리움(53.02%)이 1위를 유지한 가운데 ▲솔라나(8.63%) ▲BSC(5.64%) ▲비트코인(5.59%) ▲트론(4.56%) 순으로 나타났다.

주간 기준 TVL 상승률이 가장 큰 체인은 ▲베이스(+13.42%) ▲이더리움(+10.98%) ▲수이(+10.53%) 순이며 베라체인(-32.97%)은 유일하게 주간 TVL이 두 자릿수 이상 감소했다.

디파이 TVL 1160억 달러...연초 수준 회복

TVL 기준 디파이 부문별 순위를 보면 ▲대출(Lending) 부문이 489억8200만 달러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동성 스테이킹(Liquid Staking) 442억1400만 달러 ▲브리지(Bridge) 432억8800만 달러가 뒤를 이었다.

이외에도 ▲탈중앙화 거래소(DEX)는 200억6200만 달러 ▲리스테이킹(Restaking)은 178억2400만 달러의 TVL을 기록했다.

주간 기준으로는 ▲리퀴드 리스테이킹(+21.71%) ▲리스테이킹(+12.42%) ▲온체인 자본 할당(Onchain Capital Allocation, +12.02%) 등이 강세를 보였다. 반면 ▲수익형 디파이(Yield)는 -22.19%로 가장 큰 하락률을 기록했다.

TVL 기준 최대 디파이 프로토콜은 아베(AAVE, 대출)로, TVL은 227억85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간 기준 9% 상승하며 꾸준한 자금 유입이 이어지고 있다.

2위는 리도(Lido, 유동성 스테이킹)로, TVL은 202억5900만 달러이며, 주간 19.36% 상승해 뚜렷한 강세 흐름을 보였다.

3위는 아이겐레이어(EigenLayer, 리스테이킹)로, TVL은 100억13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주간 기준 18.29% 상승하며 다시 상승 추세를 강화하는 모습이다.

이외에도 ▲스카이(Sky)는 64억8600만 달러 ▲이더파이(ether.fi)는 60억4100만 달러 ▲바벨론 프로토콜은 51억4800만 달러를 기록했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