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DT 보낼 때 네트워크 확인 안 해도 OK…헥슬란트, 지갑 기능 강화

BTCC

사진 제공=헥슬란트.

블록체인 인프라 기업 헥슬란트가 자사의 사용자 지갑 서비스 ‘오하이월렛’에 스테이블코인 브릿지 기능을 새롭게 도입했다. 스테이블코인의 발행 네트워크에 얽매이지 않고도 손쉽게 입출금이 가능해진 셈이다.

헥슬란트는 11일 이번 업데이트로 오하이월렛에서 USD코인(USDC)과 테더(USDT)를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에 자유롭게 전송할 수 있게 됐다고 밝혔다. 지원 네트워크는 이더리움, 폴리곤, 아발란체, 아비트럼, 트론 등이며, 향후 순차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관련기사 헥슬란트, 컴투스 엑스플라 신규 검증인 합류헥슬란트, 비트코인 ETF 전용 지갑 개발바이낸스 “국내 가상자산 범죄, 투자사기·보이스피싱 가장 많아”트럼프發 가상자산 급등에도 김치프리미엄 1%…국내 존재감 낮아져

기존에는 가상자산 거래소에서 특정 네트워크만 입출금을 허용하는 경우가 많아 착오 전송에 따른 자산 손실 우려가 컸다. 예컨대 업비트에서 지원하는 USDT는 이더리움(ERC-20)과 트론(TRC-20) 기반만 허용되기 때문에 다른 체인에서 전송할 경우 복구가 사실상 어렵다. 이번 브릿지 기능은 이러한 불편을 해소할 수 있는 실질적 대안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하이월렛은 헥슬란트가 제공하는 사용자 지향 지갑 서비스다. 기업 대상의 지갑 인프라인 ‘옥텟(Octet)’이 개발자용 백엔드 서비스에 가깝다면, 오하이월렛은 일반 사용자가 직접 자산을 보관하고 활용할 수 있는 지갑 인터페이스다. 헥슬란트는 이번 기능을 시작으로 오하이월렛의 지원 자산과 활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박인수 헥슬란트 공동대표는 “이번 기능 도입을 통해 사용자들이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간에 스테이블코인을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했다”며 “앞으로도 디지털 자산 관리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 개발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