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L, BNB 제치고 시가총액 4위 등극

BTCC

14일 오후 2시 20분 시가총액 기준 상위 5개 가상자산. / 출처=코인마켓캡

솔라나(SOL)가 대규모 네트워크 중단에도 불구, 바이낸스코인(BNB)의 시가총액을 앞지르며 4위에 올랐다.

14일(이하 현지시간) 오후 2시 20분 SOL는 코인마켓캡 기준 전주 대비 17.20% 상승한 112.08달러(약 14만 9730원)에 거래되고 있다. 시가총액은 490억 3000만(약 65조 5000억 원) 달러로 487억 8000만 달러(약 65조 1800억 원) 규모의 BNB코인을 넘어섰다.

관련기사 솔라나, 사가폰 후속작 ‘챕터2’, 선주문 6만 건 몰려[점심브리핑] 솔라나 가격 반등…90달러 돌파 기대감솔라나, 스테이블코인 전송량 역대 최고[도예리의 NFT 레이더] 크립토언데드, 화려한 데뷔…”솔라나의 크립토펑크 되겠다”

BNB코인은 지금껏 가상자산 시가총액 4위를 지켜왔다. 그러나 이달 비트코인(BTC) 현물 상장지수펀드(ETF)발 BTC 상승세에 힘입어 SOL 가격이 급등, 시가총액도 덩달아 급증했다. 현재 등락을 반복하며 순위 다툼을 이어가고 있지만 SOL이 근소한 차이로 앞서고 있다.

지난 6일 SOL 네트워크는 대규모 중단 사태를 겪은 바 있다. 메인넷이 25분 이상 블록을 생성하지 않은 것이다. 블록은 거래 내역의 묶음으로 블록체인 기술의 기반이 된다. SOL 블록체인의 평균 블록 생성 시간이 400밀리초(ms)인 점을 감안하면 상당히 긴 시간 멈춘 셈이다. 이에 스테픈(GMT), 레이듐(RAY), 엑세스프로토콜(ACS) 등 솔라나 기반 토큰의 입출금이 중단되기도 했다.

피스네트워크(PYTH) 탈중앙화자율조직(DAO) 거버넌스 투표. / 출처=Reamls

그럼에도 SOL 가격이 랠리를 이어간 이유로는 피스네트워크(PYTH)를 관리하는 PYTH 탈중앙화자율조직(DAO)이 의사 결정 체계를 승인한 점이 지목된다. 이번 결정에 SOL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PYTH는 자사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167개의 댑을 대상으로 총 1억 PYTH 에어드랍 소식을 공개했다.

한편 지난 12일에는 SOL의 가상자산 스마트폰 ‘챕터2’가 선주문 10만 대를 기록했다. 지난달 16일 공개 이후 한 달도 채 걸리지 않았다. 2022년 6월 최초 출시된 전작 SOL 사가폰의 경우 2만 대를 판매하는 데만 1년 가까이 소요됐다. 사전 주문은 이날 마감될 예정이며 배송은 내년 초 시작될 전망이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