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블록체인 어렵다’는 옛말…공공 네트워크로 구축 비용 90% 줄인다’

BTCC

이강효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선임연구원이 27일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에서 열린 ‘2024 블록체인 진흥주간’에서 발표하고 있다./사진=디센터

“블록체인은 더 이상 어렵고 불편한 기술이 아니라 일상으로 다가온 서비스입니다”

이강효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선임연구원은 27일 서울 광진구 세종대학교에서 열린 ‘2024 블록체인 진흥주간’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날 행사는 KISA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정보통신기획평가원, 한국은행이 주최했다.

관련기사 위메이드 빠진 지스타, 블록체인 실종…규제자유특구 부산시도 무관심마스터카드-JP모건, 블록체인 결제 시스템 통합인천시 ‘블록체인 산업 내재화 지원사업’ 본격 추진”LBTC로 추가수익…롬바드 창업 7개월만에 비트코인 1만개 모였죠” [블록체인 NOW]

이 연구원은 “두바이 등 해외 전시회에 방문한 블록체인 관련 기업 대부분이 서비스형 블록체인 플랫폼(Blockchain as a Service·BaaS)을 선보이는 추세”라며 “기업들이 처음부터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이 아닌 (누구나 쉽게 이용 가능한) 완성형 서비스를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BaaS는 블록체인 기술을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다. 이 연구원은 “이용자가 손쉽게 이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이 주류라는 의미”라며 “BaaS는 지난 2년 동안 급성장한 분야 중 하나”라고 전했다.

이런 흐름에 맞춰 KISA도 블록체인 기반 공공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개발·운영하기 위해 BaaS 서비스 ‘블록체인 신뢰 프레임워크(K-BTF)’를 개발했다. 기업이 개발한 블록체인 기술을 K-BTF에 등록하면 지자체와 공공기관이 일정 구독료를 내고 사용할 수 있다. 그동안 지자체와 공공기관에서 자체적으로 블록체인을 구축하며 발생한 높은 비용과 잦은 인력 교체 등의 한계를 보완하겠다는 전략이다. 이 연구원은 “공공기관이 복잡한 지식 없이 기획 아이디어 하나만 있으면 손쉽게 완성형 블록체인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다”며 “블록체인 구축에 들던 비용(8~10억 원)을 10분의 1 수준으로 줄이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KISA는 앞으로 K-BTF에서 사용 가능한 블록체인을 추가하고 민간 영역까지 서비스를 확대하겠다는 방침이다. 이 연구원은 “현재 기술 구현은 모두 마쳤고 내년 상반기부터 기관들이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향후 평가인증을 거치고 관련 제도를 마련해 민간 기업도 K-BTF를 활용하도록 사업을 확대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