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현국 액션스퀘어 대표가 23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2025 크립토 인사이트'에서 '토큰 게임 프로토콜과 블록체인 게임의 미래'라는 주제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 인포진]
[인포진 황치규 기자]인포진가 2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한 '2025 크립토 인사이트 컨퍼런스' 현장. 금융·게임 등 다양한 분야에걸쳐 블록체인 기반 비즈니스 생태계 확산을 향한 글로벌 유력 프로젝트들의 전략이 대거 공개됐다.
이번 행사는 미국 트럼프 정부 출범을 전후로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 성장에 대한 기대가 고조된 가운데, 전문가들을 초대해 최근 트렌드와 향후 관전포인트를 조명하는데 초점이 맞춰졌다. 다양한 프로젝트 리더들과 애널리스트들이 참석해 최근 시장 상황과 전망을 공유했다.
장현국 액션스퀘어 대표 [사진: 인포진]
장현국 액션스퀘어 대표는 첫 세션에서"트럼프 2.0 시대를 맞이해 크립토 자산이 법과 제도에 편입되는 시기가 왔다"며 "예전처럼 불법도 아니고 합법도 아닌 회색지대에서 벗어나 법적 테두리 안으로 들어가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ㆍ"트럼프 2.0시대, 블록체인 게임 핵심은 제도화"
장 대표는 "크립토 자산은 증권보다 더 위험한 금융상품이 될 수 있다"며 "변동성이 더 심한만큼 증권 발행에 따르는 규제와 더불어 추가적인 규제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이어 "법과 제도 편입 과정에서 일부 합법 코인과 나머지 불법 코인으로 구분될 것"이라며 "이런 법적 옥석 가리기에서 살아남지 못하는 코인들은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별 DNTV 리서치 웹3 애널리스트는 2025년 크립토 시장 전체를 전망하며 올해 '온체인' 금융이 더 활발해 질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올해 비트코인 온체인 금융시장은 지난해보다 2배 가량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박 애널리스트는 "이제는 비트코인이 단순한 가치 저장 수단에 그치지 않는다"며 "올해는 금융상품으로 진화가 빨라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ㆍ"비트코인 온체인 금융 확산…가격 사이클 변화 주목"
박 애널리스트는 트럼프 밈코인 거래에 메테오라, 주피터, 문샷이 협업하는 등 전통적인 거래소 밖 활동도반향을 일으켰다고 짚었다. 특히 트럼프 밈코인으로 신규 유저 40만명을 모은 문샷 사례는 온체인의 잠재력을 입증했다는 설명이다.
이번 행사에는 글로벌 프로젝트 담당자들도 참석해 최신 전략과 한국 시장 공략 계획을소개했다.
좌측부터 박 별 DNTV 리서치 웹3 애널리스트, 데릭 한 미스틴랩스 아시아퍼시픽 헤드, 조화진 오덜리네트워크 한국사업총괄, 저스틴 김 아바랩스 아시아총괄 [사진: 인포진]
레이어1 블록체인 수이는 블록체인 기반 게임 생태계 확대에 강한 의지를 보였다.
수이 개발사인 미스틴랩스의 데릭 한 아시아퍼시픽 헤드는 "사용자들이 블록체인 게임인지 기존 게임이 모를 정도로 끊김 없는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수이는 그동안 이 부분에 집중해왔고 올해 다양한 사례들을 보여줄 수 있을 것이다"고 자신했다.
ㆍ"블록체인 게임, 여전히 해볼 만한 승부…韓 기업들과 협력"
그는 "그동안 블록체인 게임 사용자들은 게이머들 보다는 금융 인센티브를 겨냥한 디파이 이용자들이 많았다. 게이머들이 재미있어할 만한 게임은 나오지 않았다"면서 "게임 내에서 자산을 사는 것은 이미 만들어진 거대한 경제다. 재미 있는 블록체인 기반 게임이 나오고 디파이와 결합되면 판은 달라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웹3 유동성 인프라 프로젝트 오덜리 네트워크는 기존 중앙화 거래소 및 탈중앙화 거래소들과는 다른 방식으로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는 점을 부각했다.
ㆍ"단일 오더북으로 유동성 파편화 문제 해결"
조 총괄은 "오덜리는 단일화된 오더북을 사용해 유동성이 파편화되는 문제를 해결했다는 점에서 탈중앙화거래소와 중앙화거래소 대비 경쟁력을 가진다"라며 "중앙화 거래소만큼의 유동성은 아니지만 퍼프덱스 중에서는 가장 뛰어난 유동성을 보유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레이어1 블록체인 아발란체는 실물자산 토큰화(RWA)와 목적 중심 레이어1 블록체인 구축을 통해 2025년 금융 산업에서 변화의 변곡점을 만들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저스틴 김 아바랩스 아시아 총괄은 블록체인 도입의 본질을 '토큰화'로 정의하며 블록체인 금융은 ICO, STO, RWA 세 단계를 거치며 발전했다고 설명했다. 김 총괄은 "블록체인이 가장 크게 변화를 일으킬 분야는 금융이다. 지난 4-7년간 블록체인이 금융에 미친 영향을 돌아보면, 각 단계마다 의미있는 시도와 한계가 있었다"면서 "이제 블록체인은 실물자산 토큰화의 새로운 국면에 진입했다"고 강조했다.
ㆍ"목적 중심 블록체인 시대 온다…실물자산 토큰화 가속화"
좌측부터 김동환 원더프레임 대표, 이장우 업루트컴퍼니대표, 조동현 언디파인드랩스 대표, 최윤영 코빗 리서치센터장 [사진: 인포진]
행사 마지막 세션에선 크립토 시장 트렌드 및 이슈들에 대해 전문가들 의견을 짚어보는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패널 토론은 김동환 원더프레임 대표가 모더레이터를 맡았고 이장우 업루트컴퍼니 대표, 조동현 언파인드랩스 대표, 최윤영 코빗 리서치센터장이 참석해 의견을 공유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