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티센 로고.
[인포진 황치규 기자]아이티센그룹은 25일 민병덕 의원실이 주최한 정책 간담회에서 토큰증권(STO) 법제화에 대해 일본 사례를 참고하되 우리만의 특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이티센그룹 크레더 양소희 팀장은 국회의원회관 제3세미나실에서 ‘토큰증권 법제화 무엇이 문제인가?’라는 주제로 열린 간담회에 참석해 일본 금융상품거래법상 토큰증권 정의와 규제사항, 토큰증권 발행 스킴(Scheme)과 주요 플레이어들, 시장 현황을 소개했다.
양 팀장은 “토큰은 특정 가치나 권리를 나타내는 디지털 표시 혹은 증거로 정의되는데 일본에서는 크게 암호자산과 실물연계자산(RWA), 토큰증권으로 분류할 수 있다”며 “최근 일본에서 상대적으로 크게 주목을 받는 것은 RWA 중에서는 금 기반 코인이고, 토큰증권은 부동산에서 회사채 등으로 점차 종목다양화가 이루어지는 단계를 겪고 있다”고 전했다.
일본 RWA 대표 사례로는 지팡구코인(ZPG)을 소개했다. 런던 현물시장 금 가격을 기반으로 발행되는 지팡구코인은 일본 5대 상사 중 한 곳인 미쓰이물산 산하 상품 중 하나다.
양 팀장은 “아이티센글로벌과 크레더, 미쓰이물산과 디지털에셋마켓츠는 지팡구코인 글로벌 확장을 위해 협력 중”이라며 “현지 문화와 규제에 맞춰 확인하며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본에서 지난 2023년 6월 토큰증권이 유가증권 1항으로 승격된 이후 발행된 여러 모델 중 가장 인상 깊은 모델로는 시큐리타이즈 재팬이 발행했던 신칸센 관련 무담보 회사채를 꼽았다.
당시 시큐리타이즈 재팬은 구매자들 중 추첨을 통해 일반인들은 들어가볼 수 없는 비공개 차량 구역 사진촬영권을 제공한 바 있다. 양 팀장은 “‘기차 오타쿠’ 혹은 ‘철도 오타쿠’로 유명한 일본에서는 그야말로 대인기였다”며 “단순 경제 재화에 그치지 않고 사람들 마음을 움직이는 상품을 개발한 것이 인상깊었다고 말했다. 또 “아이티센글로벌은 최근 시큐리타이즈 재팬으로부터 실증실험(PoC) 협업을 제안받아 내부 논의 중”이라고도 덧붙였다.
일본 정부에 대해서는 “토큰증권을 포함한 디지털자산 전반을 국가 성장 동력으로 보고 있다”며 “자본시장 활성화, 국민 자산형성 지원, 지방경제 활성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정부 주요 인사들이 끌어가고 있다”고 전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