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서 과징금 맞은 ‘월드코인’ 대대적 개편…여권 인증 도입

BTCC

알렉스 블라니아(왼쪽부터) 툴스포휴머니티 최고경영자(CEO)와 샘 올트먼이 17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어 뉴 월드’ 행사에서 발표하고 있다./출처=생중계 영상 갈무리

지난달 한국에서 과징금을 부과받은 월드코인(WLD)이 대대적인 개편에 나섰다. 여권 인증 기능을 추가하고 사람과 인공지능(AI)을 보다 정확히 구분하기 위한 기술을 도입한다. 또 디지털 신원을 한 번에 관리하는 ‘월드체인’을 공개하고 월드코인의 명칭을 ‘월드’로 새롭게 바꿨다.

WLD 개발사 ‘툴스포휴머니티(TFH)’는 17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전 세계 첫 공식 행사 ‘어 뉴 월드(a new world)’를 개최했다. ‘챗GPT’ 창시자 샘 올트먼과 알렉스 블라니아 TFH 최고경영자(CEO)가 월드코인 프로젝트의 새로운 기술과 플랫폼을 공개했다.

관련기사 ‘홍채 정보 수집‘ 월드코인, 과징금 11억 원 맞았다…개인정보보호법 위반싱가포르 정부 “월드코인(WLD) 사고파는 개인·단체 불법 소지”월드코인 “홍채정보 보관 안해…개인정보보호법 100% 준수”

그동안 월드코인은 ‘오브’에 홍채를 인식하면 개인 식별 코드(월드 ID)를 부여하고 WLD를 지급했다. 미래에 인간과 AI를 홍채로 구분하고 AI에 밀려 일자리를 잃은 사람에게 기본소득으로 WLD를 제공한다는 취지다. 한국에선 올해 초 WLD 가격이 급등하자 홍채 인식에 대한 관심이 뜨거웠다.

앞으로는 여권 인증으로도 월드 ID를 받을 수 있다. 주변에 오브가 없어 홍채를 인식하지 못한 이용자도 월드 ID와 WLD를 받을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서다. 월드코인은 “실물 여권을 월드 애플리케이션(앱)에 저장해 나이와 국적, 여권 소유권을 증명할 수 있다”며 “이 과정에서 실제 신원을 공개할 필요가 없으며 여권을 인증한 이용자는 오브 인증 없이도 WLD를 받을 수 있다”고 밝혔다.

월드코인이 공개한 새로운 오브의 모습./출처=툴스포휴머니티

TFH는 사람과 AI를 정확히 구분하기 위한 ‘월드 ID 딥 페이스’ 기술도 도입했다. 또 오브에 기존 칩보다 약 5배 높은 AI 성능을 갖춘 엔비디아의 로보틱스용 칩(젯슨)을 탑재했다. 월드코인은 “사람임을 검증하는 과정을 훨씬 빠르고 효율적으로 확장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고 전했다.

이외에도 TFH는 ‘월드 체인’을 통해 디지털 신원을 하나의 블록체인에서 직접 관리한다. 또 타사 앱도 월드 앱에서 관리하도록 ‘미니 앱’을 추가하고 월드코인의 정식 명칭을 ‘월드’로 바꿨다. 올트먼은 이날 기조연설에서 “우리가 사는 세상은 플랫폼 변화와 기술 혁명의 한가운데 있다”며 “이 기술이 세계를 위한 중요한 새로운 기술적 인프라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지난달 월드코인 재단과 TFH에 총 11억 4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개인정보위는 “재단과 툴스포휴머니티가 합법적 근거 없이 국내 홍채 정보를 수집하고 해외로 이전하면서 개인정보보호법(보호법) 상 의무를 준수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