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 브랜트 “비트코인, 조정 후 50만 달러까지 간다”…2026년 조정•2030년 대폭등 예측

BTCC

비트코인(BTC)이 최근 사상 최고가를 경신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다시금 집중되고 있다. 이 같은 강세 속에서 저명한 트레이더 피터 브랜트(Peter Brandt)가 장기적인 전망을 내놓으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는 현재 시장 상황에 대해 비트코인이 이미 정점을 찍었을 가능성이 30%라고 평가하면서도, 결국 미래에는 큰 상승장이 다시 찾아올 것이라고 예측했다.

브랜트는 온체인 분석가 콜린 톡스크립토(Colin Talks Crypto)의 데이터를 인용해 “이번 사이클의 대세 상승장은 이미 끝났을 수 있다”며 신중한 시선을 유지했다. 그는 지난 약세장 저점이었던 2022년 11월 22일을 기준으로, 평균적으로 37개월 후 고점이 형성되는 역사적 흐름을 참고해, 올해 12월이 정점일 수 있다고 분석했다. 해당 분석에 따르면 비트코인이 최대 20만 달러(약 2억 7,800만 원)까지 상승할 수 있다고 전망하지만, 브랜트는 이 가능성보다는 조정 가능성에 무게를 뒀다.

그는 비트코인이 조정 장세에 진입할 경우, 오는 2026년 11월쯤에는 6만~7만 달러(약 8,340만~9,730만 원) 수준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이는 지난 약세장 저점보다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단기 하락에 대비하되, 중장기 성장 가능성은 여전하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브랜트가 주목하는 진짜 ‘빅 무브’는 그 이후다. 그는 다음 강세장이 도래하면 비트코인 가격이 50만 달러(약 6억 9,500만 원)까지 폭등할 것이라 내다봤다. 이는 현재 시가총액 기준으로 볼 때 약 10조 달러(약 1경 3,900조 원)에 해당하는 규모로, 비트코인은 이 경우 전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자산으로 부상하게 된다. 금의 시가총액이 약 22조 7,000억 달러(약 31경 5,300조 원) 수준임을 감안하면 비트코인이 금을 위협하는 거대 자산군으로 진입하는 셈이다.

현재 순위권에 있는 테크 대기업들과 비교해봐도 이 수준은 매우 높은데, 엔비디아($NVDA)의 시가총액은 4조 4,000억 달러(약 6,100조 원),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3조 8,600억 달러(약 5,370조 원), 애플($AAPL)은 3조 4,000억 달러(약 4,730조 원)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비트코인을 둘러싼 이 같은 낙관과 경계가 교차하는 가운데, 투자자들은 브랜트의 분석처럼 조정기에 대비하면서도 장기적 상승 가능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단기적인 공포보다는 중장기 흐름 속에서 비트코인의 거대한 이동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할 시점이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