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메타, 공공용 블록체인 공동 인프라 구축 나선다

BTCC

출처=파라메타

웹3 기술기업 파라메타가 정부 주도 ‘공공용 블록체인 공동 인프라 구축’ 사업을 수주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이 ‘2024년 블록체인 민간분야 확산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한 사업이다. 파라메타는 참여 기업인 ‘핑거랩스’와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내년 도입 예정인 공공용 블록체인 공동 인프라를 구축한다.

관련기사 파라메타, 90억 원 규모 투자 유치김종협 파라메타 대표 “올해 핵심 키워드, 블록체인·AI 결합”[디센터 인터뷰]파라메타·핑거랩스·블로코엑스와이지, 업무 협약 체결…웹3 생태계 확장

기존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블록체인 사업은 서비스마다 별도로 블록체인을 구축해 서비스 확장이 어렵고 운영 효율성이 낮았다. 또 유사 기술에 대한 중복 투자 우려와 이용자가 서비스별로 디지털 지갑을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파라메타 컨소시엄이 구축할 공동 인프라는 블록체인 기반 공공 서비스를 효율적으로 개발·운영하고 쉽게 호환할 수 있다. 파라메타는 “블록체인 기반 핵심 서비스를 구독 형태로 기관이 이용하면서 블록체인 도입 비용이 기존 대비 10분의 1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파라메타 컨소시엄은 이미 검증된 각 기업의 플랫폼을 공공 기관에서 활용하도록 재구성하고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에 필수인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인증(CSAP)을 획득할 계획이다. 파라메타는 분산 ID(DID) 신원인증 플랫폼 ‘마이아이디‘를, 핑거랩스는 대체불가토큰(NFT) 기반 온오프라인 고객관리 솔루션 ‘페이버렛’을 토대로 블록체인 DID, NFT 공동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한다. 여기에 파라메타의 마이아이디 플랫폼 기반 전자지갑 서비스 ‘쯩’을 접목해 기능·증명서·자산별로 흩어진 서비스를 통합한 디지털 지갑을 제공한다. 김종협 파라메타 대표는 “공공용 블록체인 공동 인프라를 통해 자체 블록체인 인프라 구축 없이 쉽게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부담 없이 원하는 블록체인 기반 공공서비스를 구현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