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자산 중 37%가 암호화폐, 이해충돌 논란 확산

BTCC

국가민주주의수호기금(SDDF)이 발표한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 자산 중 최대 37%가 암호화폐 관련 자산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윤리성과 투명성, 이해관계 상충 문제에 대한 심각한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초당적 감시단체인 SDDF는 트럼프의 암호화폐 자산이 주로 ‘TRUMP 밈코인’과 ‘World Liberty Financial(WLFI)’이라는 논란의 프로젝트에서 비롯된다고 지적했다. WLFI는 거버넌스 토큰과 USD1이라는 스테이블코인을 제공하는 디파이 프로젝트다.

정확한 수치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한 보고서는 트럼프 가문이 TRUMP 코인 공급량의 최대 80%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1월에만 거래 수수료 수입이 1억 달러(약 1,420억 원)에 달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온체인 투명성 부족으로 두 프로젝트에서 트럼프 가문으로 유입되는 실제 수익을 파악하기는 어려운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암호화폐 산업 지원이라는 공약을 이행하며 규제 완화와 스테이블코인 제도 정비를 추진해왔다. 그러나 SDDF 보고서는 이러한 친암호화폐 정책이 트럼프의 개인 금융 이익과도 맞물려 있다고 지적한다.

공적 서비스와 사적 이익 사이의 불명확한 경계는 논란을 가중시키고 있다. 비판론자들은 막대한 암호화폐 투자를 보유한 현직 대통령이 개인적 이익을 위해 정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는 공공의 신뢰와 민주적 거버넌스를 훼손할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특히 밈코인과 디파이 프로젝트에 대한 트럼프의 적극적인 관여는 미국 정치권의 이해상충 방지법 강화 필요성을 더욱 부각시키고 있다. 암호화폐 보유에 대한 명확한 공시 요건이 없는 상황에서, 이번 보고서는 정부 내 숨겨진 금융적 유착 관계에 대한 우려를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