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좌)[사진: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CBC뉴스]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주요 인사 크리스토퍼 월러 이사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견해를 밝혔다.
월러 이사는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호주에서 열린 행사에서 "관세는 물가를 완만하고 비지속적인 방식으로만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연준 내 다수의 견해와 다르며, 관세 정책이 기준금리 결정에 영향을 미쳐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시사한다.
월러 이사는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3.0% 오른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다만 기업들이 연초에 가격을 올리는 경향이 있는 만큼, 향후 몇 분기 동안 물가가 내려갈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1분기에 높은 인플레이션을 기록한 뒤 내려가는 패턴이 반복될지 평가할 것"이라며, 물가 흐름이 지난해와 유사하다면 연중 어느 시점에 기준금리 인하가 적절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정책 불확실성에도 불구하고 월러 이사는 기준금리 결정을 무한정 미룰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경제적 불확실성이 사라지기를 기다리는 것은 정책 마비를 초래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월러 이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2020년 지명한 인사로, 외신에서 차기 연준 의장 후보군으로 거론된 바 있다.
현재 미국은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지만, 여전히 안심할 수 없는 물가 압력에 직면해 있다. 연준은 지난해 9월부터 3차례 연속 이어온 기준금리 인하를 멈추고 지난달 4.25∼4.50%로 금리를 동결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당시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이민·재정정책, 규제와 관련해 "아직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구체적인 정책을 기다리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미셸 보먼 연준 이사도 인플레이션 둔화에 대한 확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기준금리를 대폭 내려야 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는 이달 4일 중국에 대해 1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하며 '관세 전선'을 확대했다.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대한 25% 관세는 내달 12일 시행될 예정이며, 반도체·자동차에 대한 관세 및 국가별 '상호 관세'도 예고된 상황이다.
트럼프 대통령 측 윌러 이사의 견해를 종합해보면 금리 향방은 미지수라고 할 수 있다. 윌러는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하지 않는다는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 이런 상황이 코인생태계에 미칠 영향은 가볍지 않을 듯 하다. 현재 리플(엑스알피 XRP)가격은 매우 유동적이다.
18일 14시31분 현재 국내 가상자산 거래소 원화마켓에서 4천원이 무너졌다. 어떤 변수에 의해 작동됐는지 모르지만 4천선 공방전은 매우 치열한 양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기사는 투자 권유 기사가 절대 아닙니다. 해당 내용은 견해에 불과할 수 있으니 투자에 참고로 하거나 자료로 반영하시지 않기 바랍니다. 모든 투자는 각자의 판단으로 선택해서 하는 것으로 최종적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기사발신지=연합뉴스)
★ 나와 스타의 연대기 '네티즌 어워즈' 투표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