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發 랠리에 국내 코인 시총 100조 돌파… 투자자 970만 명 시대

BTCC

가상자산 시장이 최근 활기를 띠면서 국내 전체 시가총액이 100조 원을 넘겼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의 당선과 함께 가상자산 가격이 본격적인 상승세를 탄 게 큰 영향을 미쳤다.

금융정보분석원(FIU)이 국내 등록된 25개 가상자산사업자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작년 말 기준 국내 가상자산 시총은 107조7천억 원으로, 반년 전인 6월 말의 56조5천억 원에서 무려 91%나 뛰어올랐다.

같은 기간 일평균 거래액도 6조 원에서 7조3천억 원으로 증가했고, 투자자 예치금 역시 두 배 넘는 10조7천억 원 수준으로 급증했다.

시장 열기가 뜨거워지자 거래소의 영업이익도 상승했다. 작년 하반기 영업이익은 7천415억 원으로, 반기 전보다 28%나 올랐다. 원화로 거래되는 마켓의 거래금액이 늘어난 반면, 해외코인 기반의 코인마켓은 오히려 크게 줄어든 모습이다.

이 시기 국내에서 실제 거래된 암호화폐는 중복 포함 1천357개였다. 이 중 287개는 특정 거래소에서만 거래되는 '단독 상장' 코인이었고, 그중 약 3분의 1인 97개는 한국인이 만들었거나 국내에서 대부분 거래되는, 이른바 '김치코인'이었다.

또한 1천만 명에 가까운 이용자들이 암호화폐 시장에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객확인을 마친 개인 및 법인 계정 수는 지난해 말 기준 970만 명으로, 6월 말보다 25%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가 29%로 가장 많았고, 40대(27%), 20대 이하(19%), 50대(18%) 순이었다.

보유액 기준으로 보면, 66%의 이용자가 50만 원 미만을 투자하고 있었지만, 1천만 원 이상 보유자는 전체의 12%(121만 명), 1억 원 이상 보유자도 2.3%(22만 명)에 달했다.

다만, 시장이 커지면서 명암도 나뉘었다. 코인마켓의 거래는 줄고 적자가 발생했으며, 암호화폐 보관 및 지갑 서비스 업체 일부는 사업을 종료해 전체 수탁고가 1조5천억 원, 이용자 수도 단 1,300명으로 급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정책 기대감이 불씨를 당긴 이번 암호화폐 랠리는 시장의 확대뿐 아니라, 국내 이용자들의 활동 양상과 산업 전반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