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 테마 랭킹] 24개 중 15개 테마 얕은 상승세… 상호운용성·유동화 스테이킹 등

BTCC

알트코인 시장이 섹터별로 차별화된 흐름을 보이며 회복 조짐을 나타내고 있다. 전체 24개 테마 중 15개가 상승세를 보이며 완만한 반등 흐름을 형성했다.

6월 28일 오후 5시 6분 기준 업비트 데이터랩에 따르면, 24개 섹터 중 15개가 상승하고 9개는 하락했다. 주요 상승 섹터들은 상호운용성/브릿지(+5.51%), 유동화 스테이킹/리스트레이킹(+5.01%), DEX/애그리게이터(+2.27%), 스테이블 코인 연관 자산(+1.40%), 모놀리식 블록체인(+1.39%), 밈(+1.18%) 등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상승률을 기록한 섹터는 상호운용성/브릿지(+5.51%)로, 엑셀라(AXL, +15.41%)와 웜홀(W, +9.09%)을 중심으로 강세를 보였다. 유동화 스테이킹/리스트레이킹(+5.01%)도 지토(JTO, +9.86%), 커넬다오(KERNEL, +5.55%) 등이 견인하며 상승폭을 키웠다.

DEX/애그리게이터 섹터는 커브(CRV, +17.86%), 주피터(JUP, +5.54%)가 견조한 흐름을 보이며 +2.27% 상승했다. 스테이블 코인 연관 자산 부문에서는 스카이프로토콜(SKY, +1.60%), 저스트(JST, +0.34%)가 상승세를 보였으며, 모놀리식 블록체인 섹터도 솔라나(SOL, +3.04%), 아이콘(ICX, +1.21%) 등이 리드하며 전체적으로 견인했다.

밈 섹터에서는 펭지펭귄(PENGU, +7.64%), 봉크(BONK, +2.17%)가 긍정적인 상승 흐름에 기여했다.

하락폭이 두드러진 섹터는 ▲렌딩(–1.47%) ▲스토리지(–1.07%) ▲의료(–0.70%) 등이다. 렌딩 섹터는 에이브(AAVE, –1.60%), 스트라이크(STRIKE, –1.46%)가 전반적인 하락을 이끌었고, 스토리지 테마에서는 라이브피어(LPT, –6.48%), 월러스(WAL, –2.10%) 등이 약세를 보이며 낙폭을 확대했다.

의료 섹터는 히포프로토콜(HP, –1.01%), 메디블록(MED, –0.46%) 등이 조정을 받았다.

섹터 수익률 랭크

섹터 수익률 랭킹 하락 순 / 업비트 데이터랩

대형 테마에서도 상호운용성/브릿지, 모놀리식 블록체인 등 인프라 섹터는 대체로 상승 흐름을 보였고, 디파이 관련 섹터(유동화 스테이킹/리스트레이킹, DEX 등)는 시장 전반을 주도하는 강세 흐름을 유지했다. 스마트 컨트랙트 플랫폼 카테고리는 종목별로 등락이 엇갈리며 혼조세를 나타냈다.

섹터 수익률 비교

섹터 수익률 비교 / 업비트 데이터랩

전체적으로는 상승 테마들의 상승폭이 하락 테마들의 낙폭을 상회하면서 시장 분위기는 변동성 속 점진적 개선세를 보이고 있다. 알트코인 시장은 회복 흐름 속에서 일부 강세 섹터를 중심으로 선별적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