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연합뉴스
[CBC뉴스]금융위원회가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법인 진입을 허용하는 로드맵을 발표하면서 업계에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관 투자자들이 본격적으로 가상자산 거래에 참여할 경우, 시장 경쟁이 활성화되고 안정성이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김민승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국내 시장이 지금까지는 풀뿌리 형태로 성장했지만, 법인 진입이 차단되면서 시장 왜곡과 부작용이 있었다"며 "법인 투자가 허용되면 국내 시장의 국제 경쟁력이 강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도 "법인 계좌가 열리면 대규모 자금 유입으로 코인시장이 주식시장처럼 안정화될 것"이라며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이번 법인 진입 허용으로 인해 시장 점유율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현재 업비트와 빗썸이 차지하는 높은 점유율이 다소 해소될 수 있다는 관측이 있는 반면, 법인 자금이 특정 거래소로 집중돼 독과점이 심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존재한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독과점 문제를 인지하고 있으며, 법인 계좌 허용 시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독과점 해소를 위한 규제 방안도 포함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로드맵 발표 효과가 즉각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정부는 올해 2분기부터 대학교 법인에만 가상자산 매도 거래를 허용하고, 하반기에는 상장사와 전문 투자 법인에 시장을 개방할 계획이다. 그러나 금융회사는 이번 허용 대상에서 제외된다.
익명을 요구한 한 거래소 관계자는 "공공기관이나 대학교의 참여만으로는 시장 판도 변화가 어렵다"며 "기업이나 증권사의 대규모 참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현물 ETF 승인부터 이루어졌어야 한다"며 "비영리 법인 참여의 시장 영향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발신지=연합뉴스)
★ 나와 스타의 연대기 '네티즌 어워즈' 투표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