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 USDT 상장폐지 가능성 언급…유럽 이어 미국서도 거래 중단되나

BTCC



미국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베이스가 테더(USDT) 상장폐지 가능성을 언급했다.

22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과의 인터뷰에서 브라이언 암스트롱 코인베이스 최고경영자(CEO)는 미국 내 새로운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생긴다면 USDT를 상폐해야 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새로운 규제 환경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의 투명성과 법적 준수를 더욱 요구할 것”이라며 “만일 USDT가 미국 규제 요건에 적합하지 않다면 상폐해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USDT를 보유한 코인베이스 이용자들이 많다”며 “우리는 이들에게 더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시스템으로 전환할 수 있는 출구를 제공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테더, 엘살바도르에 본사 설립…라이선스 취득 완료테더 시총, EU 미카법 시행에 18억 달러 감소…FTX 사태 이후 최대 폭리플, 테더·솔라나 제치고 가상자산 시총 3위트럼프 ‘친가상자산’ 행보 속 러트닉 회사는 테더 주주…이해상충 논란 커진다

암스트롱 CEO는 향후 미국 스테이블코인 규제가 스테이블코인 발행사에 준비금 100%를 미국 국채로 보유하고 주기적인 감사를 받게 하는 방향으로 설정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USDT는 준비금 대부분을 미국 국채로 보유하고 있지만 금과 비트코인(BTC) 등도 활용하고 있다. USDT 발행사 테더는 법인 소재지만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에 등록했을 뿐 실제 사무실을 갖추고 있지 않으며 USDT 감사 보고서를 공개한 적도 없다.

코인베이스는 이미 지난달 유럽 이용자들에 대한 USDT 거래 지원을 중단한 바 있다. 코인베이스는 USDT를 포함한 스테이블코인 6종이 유럽연합(EU) 가상자산법 미카(MiCA) 규정을 충족하지 못한다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다만 USDT의 경쟁 자산으로 꼽히는 USD코인(USDC)과 유로화 연동 스테이블코인 EURC에 대한 거래 지원은 유지할 방침이다. 두 자산은 코인베이스와 같이 미국을 기반으로 한 가상자산 기업 서클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이다. 서클은 코인베이스 지분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이날 인터뷰에서도 암스트롱 CEO는 코인베이스와 서클 간 협력 관계를 강조했다. 그는 “USDC는 이미 미카법을 준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