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리딩방도 규제해야…법안 공백 우려’

BTCC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과제’ 토론회 참석자들이 토론하고 있다./사진=디센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이하 가상자산법)의 시행을 앞두고 코인리딩방 등 유사 투자자문업을 처벌할 규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가상자산법은 가상자산 사업자의 범위를 일부만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른 공백으로 피해자가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최진홍 법무법인 YK 변호사는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과 과제’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최 변호사는 “현재 가상자산 매매·중개·보관업만 (법률에) 규정했지만 코인리딩방, 비수탁형 지갑사업자 등의 서비스도 제공되고 있다”며 “지난 2022년 가상자산 관련 유사 수신 투자 피해 신고 건수는 199건으로 전년 대비 67.2% 증가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코인리딩방은 자본시장법의 유사투자자문업으로 범죄 피해자 모집 통로와 시세조종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고 전했다.

관련기사 가상자산 회계처리 지침 적용…쟁글·삼정KPMG 등 관련 서비스 출시가상자산, 카드로 거래 못 한다 ‘명문화‘비트코인 현물 ETF, 가상자산 투자자 끌어온다가상자산 ATM, 10년만에 첫 감소…”약세장 탓”

최 변호사는 유럽의 가상자산법 미카(MiCA)를 예로 들며 코인리딩방 등록제와 같은 진입규제를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카는 가상자산과 연관된 사업자도 규율하고 있다”며 “법을 개정해 신고가 필요한 가상자산 사업자와 불필요한 사업자를 구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에 참석한 김유성 연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도 코인리딩방 규제의 필요성을 언급했다. 김 교수는 “현재 금융투자상품이 아닌 부동산·금에 대한 투자자문을 하는 사업자도 자본시장법상 투자자문업자”라며 “자본시장법 시행령에 ‘가상자산’을 추가해 가상자산에 관한 자문업을 즉시 규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의2는 부동산, 금융기관 예치금 등 투자자문업의 투자대상자산을 명시했다. 법령보다 상대적으로 쉽게 개정할 수 있는 시행령을 통해 규제를 신속히 마련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이정민 한국금융소비자보호재단 연구위원은 “가상자산법에 따르면 (코인리딩방은) 실제 사고가 터졌을 때만 규제할 수 있다”며 “사고 예방을 위해서라도 가상자산 관련 자문업에 대한 사전 규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