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코빗 리서치센터
코빗 산하 코빗리서치센터는 가상자산 회계 기준을 다룬 보고서 ‘ASC 350-60 도입과 가상자산 회계 처리 기준’을 발간했다고 10일 밝혔다.
이번 보고서는 미국 재무회계기준위원회(FASB)가 지난 2023년 도입한 신규 회계기준 ‘ASC 350-60’의 주요 내용과 기업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코빗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이전 미국 회계기준(US GAAP)인 ASC 350-30은 가상자산을 원가로만 평가하고 손상차손만 인식하는 불균형 방식이었다. 이로 인해 비트코인(BTC) 등 가상자산 보유 기업의 재무제표는 실제 자산가치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고, 투자자에게 혼란을 줬다는 분석이다.
관련기사 국내 페이코인 결제 2년만 부활…다날, 코빗과 가상자산 연계 결제 서비스국세청, 업비트·코빗 세무조사 나서코빗리서치 “가상자산 시장 기관자금 유입↑…시장성숙 지속”코빗 리서치 “가상자산 시장, 기관자금 영향력 확대…트럼프 정책이 변수”
FASB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SC 350-60을 도입해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가상자산은 공정가치로 측정하도록 기준을 변경했다. 또 가상자산을 기타 무형자산과 구분해 보고하고, 현금 흐름 및 공시 관련 요건을 명확히 해 투자자들이 기업가치를 더 정확히 평가할 수 있게 했다. 특히 BTC를 대량으로 보유한 기업들은 이제 실제 시장가치를 재무제표에 반영할 수 있게 됐다.
다만 코빗리서치센터는 ASC 350-60 도입 후에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과제들이 있다고 지적했다. 공정가치 평가의 주관성과 변동성, 가상자산 유형별 회계 분류의 모호성, 비현금 보상의 평가 기준 문제, 그리고 최초 인식 및 제거 기준의 부재 등이 이에 해당된다.
최윤영 코빗 리서치센터장은 “앞으로 회계기준 제정기관과 규제당국의 더 명확한 지침 제공이 필요하다”면서 “기업들 역시 내부 회계시스템 정비와 공정가치 평가정책 수립 등 적극적인 대응 전략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