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인링크($LINK), 고래들 움직임에 거래량 3,373% 급등…7,600억 원 규모 폭풍 이체

BTCC

거대 투자자들의 대규모 움직임이 체인링크(LINK) 생태계를 뒤흔들고 있다. 최근 24시간 동안 체인링크의 대규모 거래량이 3,373% 폭증하면서, 암호화폐 시장의 하락세 속에서도 눈에 띄는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급격한 변동은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약 6,364억 원(4억 5,800만 달러) 규모의 청산이 발생한 가운데 벌어진 일이다.

온체인 데이터 플랫폼 인투더블록(IntoTheBlock)에 따르면, 체인링크는 최근 하루 사이 59.63만 개의 LINK가 거래되며 대규모 이체 기준 금액으로 약 1조 600억 원(7억 6,270만 달러)을 기록했다. 이는 최근 일주일간 최고치이자, 거의 석 달 만에 최대 규모다. 대규모 거래는 개당 13만 9,000원(10만 달러)이 넘는 이체를 뜻하며, 주로 ‘고래’로 불리는 대형 보유자들의 활동으로 해석된다.

이번 폭등은 체인링크 토큰의 *언락* 이벤트 직후에 발생했다. 데이터 분석 플랫폼 룩온체인(Lookonchain)은 “비유통 지갑에서 약 2,489억 원(1,498만 달러) 상당의 1,787만 5,000 LINK가 바이낸스로 이동했다”고 전했다. 여기에 더해, 최근에도 미확인 지갑에서 바이낸스로 약 3,486만 원(249만 달러) 상당의 199만 9,999개 LINK가 이체됐다고 고래 추적 플랫폼이 보고했다.

하지만 시장의 전반적 추세는 하락세다. 코인글래스(Coinglass)는 전체 암호화폐 시장에서 하루 새 청산 규모가 약 6,364억 원(4억 5,800만 달러)에 달했다고 집계했다. 체인링크 가격 역시 24시간 대비 3.13% 하락하며 1만 7,600원(12.66달러)을 기록했다.

한편,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최근 기준금리를 4.25~4.5%로 동결하며, 인플레이션 완화를 기대하고 있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CNBC 인터뷰에서 “빠르면 7월에도 금리 인하를 논의할 수 있다”고 언급하며 시장에 일시적 낙관론을 불러일으켰지만, 이후 다시 매도 압력이 높아졌다.

이번 고래들의 급격한 움직임이 단순한 투기인지, 체인링크의 미래 수급에 근거한 전략적 준비인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 다만 단기간 내 대규모 토큰 언락과 이체라는 이례적 흐름 속에서 기관 및 대형 보유자들의 신중한 행보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은 부정할 수 없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