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자무 카슈미르 암호화폐 거래 집중 감시 돌입

BTCC

인도가 자무 카슈미르 지역의 암호화폐 거래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나섰다. 인도 정부는 자금 세탁과 불법 자금 조달 우려를 근거로 해당 지역과 인근 국경 지역의 암호화폐 거래를 면밀히 모니터링하도록 거래소들에게 지시했다고 이코노믹타임스가 보도했다.

이번 조치는 최근 카슈미르 팔감 지역에서 발생한 공격으로 인한 긴장감 고조와 보안 우려가 배경이 됐다. 이와 관련해 솔라나 등 플랫폼에서는 ‘팔감’과 ‘오퍼레이션 신두르’라는 이름의 암호화폐 토큰이 등장하기도 했다.

금융범죄 추적을 담당하는 인도 금융정보국(FIU-IND)은 일부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들에게 이러한 잠재적 위험 활동에 대해 특별 경계를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개인 지갑을 통한 거래도 엄격한 감시 대상이 됐다. 이러한 지갑들은 거래소나 수탁기관을 거치지 않고 개인 간 직접 송금이 가능해 불법 자금 추적이 어렵다는 특성이 있다.

한 관계자는 “현재는 일반적인 의심 거래가 아닌 국경 지역의 거래 모니터링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밝혔다.

은행과 마찬가지로 암호화폐 거래소들도 의심스러운 거래 내역을 정기적으로 FIU에 보고해야 한다. 최근 1년간 암호화폐 출금 규정이 강화돼 자금의 추적이 어려운 암호화폐의 특성을 고려해 자금 이동 경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정보 제출이 요구되고 있다.

일부 인도 거래소들은 현재 출금을 허용하기 전에 바이낸스 지갑이 실제 고객 소유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도입했다. 하지만 자금이 바이낸스에 도달한 후에는 사실상 어디로든 이동이 가능하다는 점이 우려사항으로 지적된다. 더욱이 해외 암호화폐 송금에 대한 국제 가이드라인은 아직 마련되지 않은 상태다.

한편 인도 증권거래위원회(SEBI)는 대체투자펀드(AIF) 수탁기관들에게도 펀드 내 자금 세탁 및 테러 자금 조달 위험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하도록 요청했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