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채 스캔을 통한신원 인증을 기반으로 하는 월드코인 프로젝트 [사진: 월드코인 재단]
[인포진 AI리포터] 오픈AI의 월드 네트워크가 미국 시장 진출을 선언하며 개인정보 보호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1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월드코인은 홍채 스캔을 통해 디지털 ID를 생성하고, 사용자에게 암호화폐를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하지만 이 기술은 이미 인도, 한국, 이탈리아, 콜롬비아 등 여러 국가에서 규제 조사를 받고 있으며, 스페인과 홍콩 등에서는 금지된 상태다.
미국의 경우 주별로 생체정보 보호법이 다르다. 캘리포니아와 텍사스는 관련 법이 있지만 조지아, 테네시, 플로리다 등 다른 주는 연방법에만 의존해야 한다. 특히 텍사스에서는 개인이 직접 소송을 제기할 수 없고, 주 검찰총장만이 법을 집행할 수 있어 실질적인 보호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에 따라 일부 주에서는 강력한 규제가 시행될 수 있지만, 그렇지 않은 주에서는 개인정보 유출 위험이 커질 가능성이 있다.
월드코인은 일본에서 틴더(Tinder)와 협력해 디지털 ID를 도입하는 등 일부 시장에서는 확장을 이어가고 있다. 하지만 미국 내에서 개인정보 보호가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월드코인의 기술이 얼마나 받아들여질지는 미지수다.
월드코인이 미국에서 성공적으로 자리 잡는다면, 온라인 플랫폼에서 디지털 신원의 새로운 기준을 만들 가능성도 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