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갑 정보 분석이 암호화폐 시장의 새로운 권력이 되고 있다. [사진: 셔터스톡]
[인포진 홍진주 기자]암호화폐 세계에서 지갑 정보는 단순한 힘이 아니라 무기가 되고 있다. 최근 만트라(Mantra)의 OM 토큰이 몇 시간 만에 90% 폭락한 사건은 이른바 '지갑 인텔리전스'(wallet intelligence)가 얼마나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다.
2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지갑 인텔리전스는 블록체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지갑 행동, 거래 패턴, 자산 흐름 등을 파악하는 기술로, 체이널리시스(Chainalysis)와 아캄 인텔리전스(Arkham Intelligence) 같은 기업들은 이를 활용해 규제 감시부터 예측 거래까지 다양항 방식으로 시장을 통제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정보 접근권을 가진 이들이 시장에서 전략적 우위를 점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블록체인 기술의 프라이버시 기능을 위협하는 양날의 검이 될 수도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갑 분석 기술이 발전하면서 한때 사용자를 보호하던 블록체인의 익명성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모든 거래는 흔적을 남기며, 정교한 분석가들은 이를 추적할 수 있다. 이는 규제 당국이나 거래소가 불법 자금 추적에 활용하는 한편, 검열, 지갑 차단 등 권력 남용의 도구로도 작용할 수 있는 위험도 내포하고 있다.
실제로 OM 토큰 폭락은 이런 역학이 어떻게 작용하는지를 잘 보여준 사례다. 보도에 따르면 한 트레이더가 바이낸스에서 공매도 포지션을 대규모로 취한 뒤 유동성을 악용해 연쇄 청산을 유도한 것으로 추정된다. 당시 OM 토큰 유통 물량 중 90%가 내부자에게 집중돼 있었고, 장외 거래의 불투명성이 겹치면서 수백만달러 규모의 시장 가치가 증발됐다.
FTX [사진:셔터스톡]
FTX 붕괴 당시에도 지갑 정보는 주요한 단서였다. 당시 규제 당국과 내부 감사는 경고를 놓쳤지만, 일부 암호화폐 커뮤니티가 지갑 움직임을 통해 알라메다 리서치와 FTX 간의 의심스러운 관계를 먼저 지적했다. 그러나 이후 유출된 재무제표와 대규모 인출 사태가 발생하고 나서야 진실이 드러났다.
지갑 인텔리전스는 가격 및 여론 조작에도 활용될 위험도 있다. 분석 데이터를 일부만 노출하거나, 의도적으로 특정 지갑을 지목함으로써 시장을 움직일 수 있다. 특히 이 기술을 독점하는 소수의 기업이 지갑 차단 권한, 수상 거래 판단 기준, 정보 해석 권력 등을 독점할 경우, 탈중앙화 원칙이 무너질 수 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암호화폐 사용자들은탈중앙화가 안전을 보장한다고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라며 "자신의 데이터가 어떻게 추적되고 해석되며, 무기가 될 가능성이 있는지 알아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암호화폐 생태계가 투명성에 대한 새로운 기준, 분산형 분석 도구 개발, 프라이버시 강화와 책임성의 균형 등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