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부된 차트를 기준으로 최근 3일간 Pi 토큰은 뚜렷한 하락 추세를 보였다. 0.80달러 선에서 시작된 가격은 지속적으로 저점을 낮추며, 5월 30일 새벽에는 0.70달러 선까지 하락했다. 특히 5월 27일부터 이어진 음봉 중심의 하락세는 매도세가 강하게 유입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InfoZzin]파이코인 블록체인 실시간 데이터 제공 플랫폼에 따르면, 2025년 5월 30일 오전 기준 Pi 토큰의 시세는 0.713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이는 전일 대비 약 -2.062% 하락한 수치로, 단기적으로 매도 압력이 이어지고 있는 모습이다.
Pi의 시가총액은 약 51억 7,848만 달러로 집계됐다. 전체 공급량은 1,118억 50만 Pi에 달하며, 이 중 유통량은 약 726억 7,033만 Pi, 잠금량은 약 520억 6,554만 Pi로 나타났다. CEX 거래소 보유량도 32억 Pi를 초과하며 거래소 내 토큰 유입이 활발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현재 OKX가 약 25억 Pi, Bitget이 약 113억 Pi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네트워크 블록 생성 수는 20,945,892 블록이며, TPS(Transaction Per Second)는 0.738로 기록됐다. 이는 현재 메인넷 활성화 수준이 높지 않음을 반영한다.
첨부된 차트를 기준으로 최근 3일간 Pi 토큰은 뚜렷한 하락 추세를 보였다. 0.80달러 선에서 시작된 가격은 지속적으로 저점을 낮추며, 5월 30일 새벽에는 0.70달러 선까지 하락했다. 특히 5월 27일부터 이어진 음봉 중심의 하락세는 매도세가 강하게 유입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5월 30일 오전 기준, 0.70달러선에서 강한 지지를 보이며 반등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거래에서 저점을 높이는 캔들이 출현하고 있으며, 0.713달러선 위에서 횡보 중이다. 거래량은 단기적으로 증가세를 보이며 반등 시도의 신호를 함께 주고 있다. 824.05K의 거래량이 확인되며 단기 매수세 유입 가능성을 나타내고 있다.
최근 블록(20,945,892) 기준으로 3초 간격으로 10건 이상의 거래가 실시간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는 Pi 네트워크 사용자 간의 활발한 전송과 교환이 진행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서명 주소들은 서로 다른 계좌 간의 트랜잭션을 다수 포함하고 있어, 사용자 기반 확장을 시사한다.
기술적 분석 관점에서 0.7000.710달러 선은 단기 지지선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지점에서의 가격 방어가 성공할 경우 단기 반등 가능성도 존재하나, 거래량 증가가 동반되어야 한다. 0.7400.760달러 구간은 단기 저항선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만약 이 구간을 돌파한다면, 시장은 다시 0.80달러선 탈환을 시도할 수 있다.
네트워크의 TPS가 아직 1 미만에 머물러 있어 기술적 확장성과 메인넷 상거래 활성화는 여전히 과제로 남아 있다. 그러나 거래소 내 유동성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은 향후 상장 확대 가능성 및 시장 참여 확대를 유도할 수 있는 긍정적 신호로 해석된다.
Pi 네트워크는 현재 실사용 기반이 제한적이나, 자체 블록 탐색기(PiScan.io)의 고도화와 사용자 기반의 확장이 병행될 경우 가격 회복 가능성도 열려 있다.
[※ 본 기사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일반적인 가상자산 관련 소식 전달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권유나 재정적 조언이 아닙니다. 가상자산은 가격 변동성이 매우 크며, 투자에 따른 손실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투자 결정 전 반드시 신중한 검토와 전문가의 조언을 받으시기 바랍니다. 본지는 해당 정보에 대한 법적·재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김민철 기자
김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