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더리움 자료사진
[InfoZzin]이더리움(Ethereum, ETH)은 비트코인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가총액을 기록하는 대표적인 가상자산이다. 이미지 자료에 따르면, 이더리움은 $4,327.95라는 가격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이는 해당 시점에서 글로벌 시장에서 거래되는 ETH의 단일 시세를 나타낸 것이다. 이 수치는 단순히 하나의 가격이 아니라, 글로벌 거래소에서 형성된 다양한 호가와 거래가 평균적으로 집계된 결과물에 해당한다.
가격 수치 옆에는 세 가지의 변동률 지표가 함께 병기되어 있다. 첫 번째는 1시간 기준 표시된 +0.52%, 두 번째는 24시간 기준 -5.10%, 세번째는 7일 기준 0.68%다. 이 세 가지 퍼센트 값은 각각 다른 기간을 기준으로 산출된 가격 변동률로 추정되며, 단기·중기·장기의 흐름을 구분해 보여주는 방식이다
여기에 더해, 종목명 왼편에는 이더리움 고유 로고가, 오른편에는 ‘Buy’라고 적힌 버튼 형태의 라벨이 부착되어 있다. 이는 이용자가 클릭을 통해 거래를 시작할 수 있음을 알리는 시각적 요소다. 단순히 가격 수치만을 보여주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거래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설계된 인터페이스적 장치가 함께 존재하는 점이 확인된다.
Ethereum Markets 상위 5개 거래소
이와 별도로 제시된 화면에는 Ethereum Markets라는 제목과 함께 주요 거래소 및 페어가 순위별로 나열되어 있다. 이 목록은 실제로 ETH 거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대표적인 마켓을 보여주는 것으로, 상위 5개 거래소는 다음과 같다.
Binance – ETH/USDT
Binance – ETH/FDUSD
Bybit – ETH/USDT
Coinbase Exchange – ETH/USD
Uniswap v4(Ethereum) – ETH/USDT
위의 순서는 이미지 속 표기된 순서와 동일하며, 각 거래소 이름과 거래 페어는 원문 그대로 적시되었다.
거래소별 특징과 의미
첫 번째와 두 번째 순위는 모두 세계 최대 거래소인 바이낸스(Binance)에서 차지하고 있다. 첫 번째는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스테이블코인인 USDT(테더)와의 페어이고, 두 번째는 FDUSD와의 페어이다. 이는 바이낸스 내에서 ETH 거래량이 USDT와 FDUSD라는 스테이블코인 기반으로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하나의 거래소가 상위 두 자리를 동시에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더리움 거래에서 바이낸스가 차지하는 비중이 단순한 1위 수준을 넘어선다는 점을 상징한다.
세 번째 순위는 바이비트(Bybit)로, ETH/USDT 페어가 상위권에 올랐다. 이는 파생상품과 현물거래 양쪽에서 활발히 거래되는 거래소로, ETH/USDT 거래쌍이 주요한 거래 축임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 준다.
네 번째는 미국의 대표적인 규제 거래소인 **코인베이스(Coinbase Exchange)**다. 여기서는 ETH/USD, 즉 달러와 직접 매매되는 현물 거래가 대표적으로 등장했다. 이는 미국 내 기관 및 일반 투자자들이 법정화폐를 통한 직접 진입 경로로 ETH를 매수·매도하는 대표적인 시장임을 보여준다.
다섯 번째는 탈중앙화 거래소(DEX)인 Uniswap v4(Ethereum)이다. 이곳에서는 ETH/USDT 페어가 대표적으로 거래되고 있으며, 탈중앙화 거래소가 중앙화 거래소와 나란히 상위 5위권에 진입했다는 점이 눈길을 끈다. 이는 유니스왑이 스마트컨트랙트를 기반으로 한 탈중앙화 유동성 풀을 운영하면서도 ETH 거래량 측면에서 글로벌 상위에 속할 만큼 큰 비중을 확보하고 있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다만 본 기사에서는 해석이 아닌 사실 전달 차원에서, 단순히 해당 거래소와 페어가 5위에 올랐음을 언급하는 데 그친다.
CEX와 DEX의 병존
위 목록은 이더리움이 중앙화거래소(CEX)와 탈중앙거래소(DEX) 양쪽 모두에서 활발하게 거래되고 있음을 분명하게 드러낸다. 바이낸스, 바이비트, 코인베이스는 모두 중앙화거래소로서, 대규모 유동성과 규제 환경에 따라 이용자층이 나뉜다. 반면 유니스왑은 탈중앙화 거래소로서 이용자가 지갑을 연결해 직접 거래할 수 있는 특성을 갖는다.
이 두 영역의 거래소가 동시에 상위권에 자리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더리움의 거래 생태계가 특정 영역에 국한되지 않고 광범위하게 분산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중앙화거래소 내에서도 스테이블코인 기반 페어(USDT, FDUSD)가 우위를 차지하고, 미국 내에서는 달러 페어가, 탈중앙화에서는 다시 스테이블코인 페어가 대표성을 띠고 있다는 점이 이미지로 확인된다.
결론
이미지에 제시된 가격 수치와 변동률, 그리고 상위 5개 거래소와 거래 페어 목록은 이더리움이 글로벌 시장에서 얼마나 다양한 경로를 통해 거래되고 있는지를 간단명료하게 보여준다.
가격은 $4,327.95
변동률은 +0.52%, -5.10%, +0.68%
거래소는 바이낸스, 바이비트, 코인베이스, 유니스왑
페어는 USDT, FDUSD, USD
이 모든 요소를 종합하면, 단순한 숫자 이상의 의미를 전달한다. 그러나 본 기사는 이미지에 담긴 수치와 목록을 그대로 전달하는 데 그치며, 가격 전망이나 시장 해석은 포함하지 않는다.
[※ 본 기사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일반적인 가상자산 관련 소식 전달을 목적으로 하며, 투자 권유나 재정적 조언이 아닙니다. 가상자산은 가격 변동성이 매우 크며, 투자에 따른 손실은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본지는 법적 재정적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김민철 기자
김민철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