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스팸 필터링 논쟁 격화…저자 아무스 “개발자에 자금 지원”

BTCC

비트코인 스탠다드의 저자이자 경제학자인 사이페딘 아무스(Saifedean Ammous)가 최근 비트코인 네트워크 내 스팸 인스크립션 문제를 둘러싼 논쟁에 목소리를 보탰다. 그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전담 개발자를 지원하는 데 자금을 기부할 의향이 있다고 밝히며 논란에 불을 지폈다.

아무스는 익명 개발자인 그라스페드비트코인(GrassFedBitcoin)이 시작한 논의에 응답하는 형태로 이를 언급했다. 그는 비트코인 핵심 코어(Bitcoin Core) 내 풀 리퀘스트 #28408을 병합해 노드 운영자들이 보다 쉽게 인스크립션을 필터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그라스페드비트코인에 따르면, 인스크립션 필터링 기능의 부재는 비트코인(BTC) 블록체인의 불필요한 데이터 부하를 초래하며, 비트코인을 화폐 프로토콜로서 기능하지 못하게 만든다. 그는 “노드를 실행하는 누구도 인스크립션 중계를 원하지 않는다”고 지적하며, 과거 OP_RETURN 한도 확대는 잘못된 전제로 이뤄졌다고 강조했다. 이어 “통화 데이터를 저장하는 프로토콜로서의 역할에 집중해야 하며, JPEG 파일 저장 같은 비금융 목적의 사용을 지양하는 기본 정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제안에 대해 블록스트림(Blockstream) 최고경영자 애덤 백(Adam Back)은 반대 입장을 나타냈다. 그는 인스크립션 필터링을 ‘무기 경쟁(arms race)’에 비유하며, 트랜잭션 내 삽입되는 스팸 데이터는 끊임없이 코드 구조를 바꿔가며 진화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링 도구도 지속적인 업데이트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비트코인 생태계 내 인스크립션 및 스팸 필터링 관련 논의는 오랫동안 지속돼온 기술적·철학적 갈등의 일환이다. 이번 논쟁은 비트코인의 네트워크 효율성과 정체성을 둘러싼 논의가 여전히 뜨거운 감자임을 보여준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