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반등 하루만에 7만달러대 후퇴…현물 ETF 유출세 지속

BTCC

11일 오전 8시 국내 거래소 빗썸에서 비트코인(BTC)은 전일 대비 3.41% 하락한 1억 1809만 9000원을 기록했다.

비트코인(BTC)이 8만 달러 선을 넘긴 지 하루 만에 다시 7만 달러대로 밀려났다. 경기 침체 우려로 BTC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자금이 빠져나가며 가격 하락에 영향을 주고 있다.

11일 글로벌 가상자산 시황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 기준 BTC는 7만 9655.83달러에 거래됐다. 전일 대비 4.06% 하락한 가격이다. 같은 시간 알트코인 대장주인 이더리움(ETH)은 8.78% 하락한 1524.23달러를 기록했다. 엑스알피(XRP)는 4.63% 내려 개당 1.969달러에서 거래됐다. 솔라나(SOL)는 5.43% 내린 112.68달러를 기록했다.

관련기사 관세 유예에 가상자산 ‘급반등‘…비트코인 8만3000달러선 미중 관세 갈등에 가상자산 하락…비트코인 7만 6000달러대로 후퇴 ‘폭락‘ 비트코인 진정세…8만달러 회복 목전 ‘관세 충격‘ 비트코인 8만달러 붕괴…알트는 10%대 급락

국내 거래소인 빗썸에서 BTC는 전일 대비 3.41% 하락한 1억 1809만 9000원을 기록했다. ETH는 8.25% 내린 225만 8000원, XRP는 4.07% 하락한 2917원에 거래되고 있다.

BTC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의 대규모 자금 이탈이 가격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영국 투자관리사 파사이드인베스터스에 따르면 지난 3월 28일부터 4월 8일까지 약 5억 9500만 달러(약 8648억 원)가 순유출됐다. 미국이 지난 9일 중국을 제외한 다른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를 유예한 이후에도 1억 2700만 달러(약 1845억 원)가 추가 유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경기 침체 가능성이 높아지며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시장 불확실성이 해소되기 전까지는 국채와 현금 중심의 자산 배분이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미국 헤지펀드 라자드레셋매니지먼트의 글로벌 채권 공동 책임자 마이클 와이드너는 “신용 시장 유동성이 완전히 말라버린 것을 확인할 수 있다”며 “투자자들이 국채나 현금과 같은 더 안전한 자산으로 이동하고 있으며, 이 흐름이 결국 신용 경색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가상자산데이터분석기업 알터너티브닷미의 크립토공포탐욕지수는 전일 대비 21포인트 오른 39포인트로 ‘공포’ 상태로 전환됐다. 이 지수는 0에 가까울수룩 투자 심리가 위축된 상태를 의미하며, 100에 가까울수록 시장 과열을 나타낸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