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사진: 셔터스톡]
[인포진 AI리포터] 블록체인 기술은 커버드본드(이중상환청구권부 채권) 발행 및 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지만, 법적·기술적·규제적 장벽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분석이 나왔다.
22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국제신용평가사 무디스는 블록체인이 커버드본드 시장의 운영 효율성과 투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있다고 전했다.
그러나 무디스는 현재 블록체인 활용이 대부분 온체인 채권 발행에 국한되어 있으며, 결제 및 자산 관리와 같은 핵심 기능은 여전히 오프체인 인프라에 의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블록체인 기술을 커버드본드 시장에 완전히 통합하는 것은 단기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설명이다.
무디스는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블록체인을 지원하는 법적 구조와 호환 가능한 채권 프로그램을 갖춘 관할권이 블록체인 혁신을 수용하기에 더 유리할 수 있다고 제안합니다. 그때까지 커버드본드 시장에서 이 기술의 역할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된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