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핫이슈] 이재명표 암호화폐 정책 본격화…스테이블코인·현물ETF 속도

BTCC

이재명 대통령 취임으로 국내 암호화폐 산업에 적잖은 변화가 예고된다 [사진: 챗GPT 생성 이미지]이재명 대통령 취임으로 국내 암호화폐 산업에 적잖은 변화가 예고된다 [사진: 챗GPT 생성 이미지]

[인포진 강진규 기자] 이재명21대 대통령이취임하면서 암호화폐 산업 정책에 적잖은 변화가 예고된다.

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 등 외신은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선거운동 기간 동안 내세운 암호화폐 관련 공약에 주목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대선 기간 민간 주도의 디지털 경제 생태계를 강조하며 다양한 정책 방향을 제시한 바 있다.

⦁이재명 대통령, 암호화폐 정책 본격화…스테이블코인·현물 ETF 추진 속도

이재명 대통령은 올해 초부터 해외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원화 스테이블코인 시장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해왔다.

스테이블코인은 특정 법정화폐에 연동, 가격 변동이 크지 않는안정적인(stable) 암호화폐의 일종으로,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리플(XRP) 등 변동성이 큰 자산과 달리 미국 달러 등에 담보되어 그 가치를 유지하는 것이 특징이다. 전 세계 스테이블코인 시장은 USDT, USDC와 같은 달러 기반 스테이블코인이 90% 이상 장악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암호화폐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도입도 공약으로 내걸었다. 비트코인 등 주요 암호화폐를 기초자산으로 하는 ETF를 국내에도 허용해 투자자들이 보다 투명하고 제도화된 방식으로 암호화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구상이다.

이재명 정부는 이를 통해 암호화폐가 가치 안정성을 확보하면 국민연금을 비롯한 기관투자자도 일정 기준을 충족할 경우 암호화폐에 직접 투자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예산안이 6월 암호화폐 시장의 변동성을 키울 전망이다.

⦁6월 암호화폐 시장 최대 변수 '트럼프 예산안' 통과 관건

4일(이하 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암호화폐 분석 플랫폼 K33 리서치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과 예산안을 둘러싼 동향이 6월 암호화폐 시장에 큰 변동을 가져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 상원에서 스테이블코인 규제 법안이 최종 표결을 앞두고 있지만, 하원과 조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코인데스크가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프렌치 힐 위원장을 인용해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美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장 "상하원 스테이블코인 법안 조율 필요"

보도에 따르면 하원 법안은 외국 스테이블코인 발행자 미국 내 거래 규제를 강화하는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상원보다 엄격한 규제를 요구하고 있다. 힐 위원장은 "미국에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려면 미국 내 등록이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미국과 유사한 규제를 가진 국가에서 발행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진: 월드리버티파이낸셜]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진: 월드리버티파이낸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소유한 미디어 기업이 트럼프 미디어앤테크놀로지그룹이 최대 120억달러 규모 신규 증권을 발행한다.

⦁트럼프 미디어, 120억달러 규모 신규 증권 발행 추진

트럼프 미디어는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보통주 8465만7181주 발행을 위한 등록신청서를 제출했다고 코인데스크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윙클보스 형제가 설립한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가 뉴욕 증권거래소 상장을 위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 관련 서류를 제출했다고 코인데스크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美 암호화폐 거래소 제미니도 IPO 본격 추진…SEC에 서류 제출

제미니는 SEC에 클래스 A 보통주 공모를 위한 폼 S-1(Form S-1) 초안 등록 서류를 제출하며 IPO 절차를 공식화했다.

기업들의 비트코인 보유량이 빠르게 증가하며 850억달러를 넘어섰다고 코인데스크가 바이낸스 리서치 보고서를 인용해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기업 비트코인 보유 규모, 850억달러 돌파…1년 만에 두배

바이낸스 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116개 상장 기업들이 보유한 비트코인은 81만9100BTC에 달한다. 전년대비 31만2200BTC에서 두 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특히 4월 초 이후 10만BTC가 추가되며 상승세가 가속화됐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규제를 법적 대응보다 고지 및 의견수렴 중심으로 전환한다.

⦁美 SEC, 암호화폐 규제 전략 전환…의견수렴 방식 집중

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폴 앳킨스 SEC 위원장은 상원 소위원회에서 "암호화폐 정책 입안은 집행을 통한 규제가 아닌, 통지 및 의견 제출을 통한 규칙 제정을 통해 이뤄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 금융 감독 부의장에 미셜 보우먼 임명…스테이블코인 규제도 담당할 듯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연준)이 금융 시스템 감독을 총괄하는부의장에미셸 보우먼을 임명했다. 보우먼은 스테이블코인 발행자들에대한 규제 방향도 결정할 가능성이 크다고 코인데스크가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테이블코인 [사진:셔터스톡]스테이블코인 [사진:셔터스톡]

스테이블코인 시가 총액이2500억달러를 돌파했다고 더블록이 코인게코 데이터를 인용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테이블코인 시총 2500억달러 돌파… 2455억달러가 달러 연동

코인게코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시가 총액은2503억달러로 이중2455억달러가 미국 달러와 연동돼 있다. 테더 USDT는시총 1530억달러로 업계 1위를 지켰고, 서클(Circle) USDC가609억달러로 뒤를 이었다. USDT와 USDC 합산 점유율은85% 이상에 달한다.

달러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인 서클이 뉴욕증권거래소 상장 첫날 주가가 180% 급등하는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스테이블코인 USDC 발행사 서클, 상장 첫날 주가 180% 껑충

투자자 관심이 집중된 가운데 서클 시가총액은 178억달러를 넘어섰다. 6일 외신들에 따르면 스테이블코인 발행사 서클은 상장가 31달러에서 거래를 시작한 뒤, 장중 한때 103.7달러까지 상승하며 서킷브레이커가 발동됐다. 종가는 69달러로 마감됐다.

도이치뱅크. [사진: 셔터스톡]도이치뱅크. [사진: 셔터스톡]

도이치뱅크가 스테이블코인 및 토큰화 예금 도입을 검토하고 있다고블룸버그통신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도이치뱅크,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토큰화 예금 도입 검토

도이치뱅크디지털 자산 및 통화 전환책임자인 사비흐 베흐자드는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 또는 업계이니셔티브에 참여하는 것을고려 중이라고 말했다. 도이치뱅크는 결제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토큰화 예금 시스템 개발도 고려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은 전했다.

우버가 암호화폐 결제 지원을또 다시 고려하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우버 CEO "결제에 스테이블코인 활용 검토…연구 단계"

다라 코스로샤히 CEO는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블룸버그 테크 컨퍼런스에서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할 가능성을 언급하며 "우버는 현재 연구 단계에 있다"고 말했다.

미국 디지털자산 운용사 비트와이즈의 맷 호건(Matt Hougan) 최고투자책임자(CIO)가 투자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BTC)을 추가했을 때의 수익률을 분석한 결과를 공개했다.

⦁주식·채권 6:4 전략에 비트코인 5% 담았더니…수익률 2배 껑충

5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에 따르면 호건 CIO는 주식 60%, 채권 40%로 구성된 전통적인 포트폴리오에 비트코인을 추가하면 위험을 상대적으로 낮추면서도 수익률을 높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세계경제포럼(WEF)이 블록체인과 인공지능(AI)의 융합이 확대됨에 따라 탈중앙 물리적 인프라 네트워크(DePIN) 시장 규모가 2028년까지 3조5000억달러를 돌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세계경제포럼 "블록체인·AI 융합 'DePIN' 시장 3년 내 100배 성장"

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DePIN은 블록체인 기술과 커뮤니티 소유 물리 인프라를 결합해 참여자들이 암호화폐 보상을 받는 탈중앙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개념이다.

이더리움 [사진: 셔터스톡]이더리움 [사진: 셔터스톡]

이더리움 재단이 보유 이더리움 자산을 보다 신중하게 관리하며, 장기 목표에 맞춘 전략을 강화한다고 밝혔다.

⦁이더리움 재단 "2026년까지 중요한 전환점"…새 전략 공개

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 블록에 따르면 새로운 전략은 단기 운영을 장기 목표와 맞추고, 시장 침체나 중요한 시점에서 생태계를 지원하는 방안을 포함한다. 재단은 향후 1년 반을 중요한 전환점으로 보고 있으며, 이 시기에 중요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집중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유럽이 2026년부터 디파이(DeFi) 규제를 본격 논의할 예정이지만, 여전히 '탈중앙화'에 대한정의조차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코인텔레그래프가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EU, 2026년 디파이 규제 논의 본격화…탈중앙화 정의 여전히 모호

유럽암호화폐이니셔티브(EUCI)비아라 사보바 수석 정책 담당자는 "MiCA는 디파이를 다루지 않으며, 2026년부터 당국이 탈중앙화에 대한법적 정의를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FIFA가 알고랜드를 떠나 아발란체 서브넷 기술을 활용해 자체 레이어-1 블록체인을 선보인다.

⦁FIFA는 왜 자체 블록체인을 직접 구축하나

6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따르면 FIFA 행보는 통제권 확보와 확장성 강화를 고려한 것이다. 알고랜드를 활용할 당시 FIFA는 외부 프로토콜에 의존해야 했지만, 자체 블록체인을 구축하면 자산 발행, 게임 통합, 사용자 경험을 직접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모바일 핀테크 플랫폼 로빈후드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스탬프를 2억달러에 인수하며 소매 투자 플랫폼을 넘어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으로 확장하고 있다.

⦁로빈후드, 비트스탬프 2억달러 인수…글로벌 암호화폐 시장 확장

2일(현지시간) 경제매체 CNBC는 로빈후드가 비트스탬프를 인수하며 기관 투자자를 대상으로 한 암호화폐 서비스까지 확대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블록체인 벤처캐피털(VC) 해시드벤처스는 일본 금융 그룹미쓰이스미토모 파이낸셜 그룹(SMFG) 증권 계열사 SMBC 닛코 증권(이하 SMBC닛코)으로부터 ‘해시드 벤처펀드 III’에 대한 전략적 투자를 유치했다고 5일 밝혔다.

⦁해시드벤처스, 日 SMBC 닛코 증권서 전략적 투자 유치

해시드는 서울을 비롯해 샌프란시스코, 싱가포르, 뱅갈루루, 아부다비 등 글로벌 거점에 진출해 있으며, 에테나(Ethena), 월드코인(World), 앱토스(Aptos), 스토리(Story) 등 다수 탈중앙화 프로젝트들에 투자했다.

김석환 위믹스 재단 대표가 2일 위믹스 홀더 긴급 간담회를 열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진: 위믹스 유튜브 갈무리]김석환 위믹스 재단 대표가 2일 위믹스 홀더 긴급 간담회를 열고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진: 위믹스 유튜브 갈무리]

위믹스가 국내 거래소 상장폐지 당일인 2일 홀더 긴급 간담회를 열고 가처분 기각 결정에 대한 항고와 함께 웹2-웹3 게임을 통합하는 '플레이 온'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김석환 위믹스 재단 대표는 "국내 사업을 포기하지 않았다"며 글로벌 시장 확대 의지를 밝혔다.

⦁위믹스 "가처분 항고할 것"…웹2-웹3 통합 플랫폼 '플레이온' 추진

김석환 대표는 이날 간담회에서 "가처분 결정에 대한 서울중앙지방법원의 판단은 존중하지만, 해당 결정은 사실관계에 대해 오인한 부분이 존재하고 법리적으로 다시 법원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 있다"며 항고 방침을 밝혔다.

빗썸이 오는 16일까지 거래 금액에 따라 최대 상금이 커지는 ‘빗썸 거래왕’ 두 번째 대회를 개최한다.

⦁빗썸, ‘제2회 빗썸 거래왕’ 대회 개최

‘빗썸 거래왕’ 대회는 가상자산별 누적 거래금액을 기준 상위 20인에게 거래금액의 일부를 상금으로 차등 지급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가상자산 거래가 활발할수록 받을 수 있는 상금 규모도 커지는 구조가 특징이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

Related Posts

베라체인, 열흘도 안돼 3억달러 규모 자본 유출…왜?

베라체인 웹사이트 갈무리.디파이 중심 레이어1 블록체인 베라체인이 대규모 자본 유출에 직면했다.9일(현지시간) 디파이언트 보도에 따르면 베라체인은 최근 9일간 3억800만달러 규모 순유출을 기록했다.이는 두 번째로 유출이 큰 아비트럼 대비 690%에 달하는 수준이다.하루 활성 주소 수(DAU)도 큰 폭으로 감소했다. 토큰터미널(TokenTerminal)에 따르면 지난 3월 3일 6만명으로 정점을 찍었던 베라체인DAU는 현재 2만3000명으로…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