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와 간편결제 1위 네이버페이가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위해 손을 잡는다.[사진: Reve AI]
[인포진 강진규 기자] 국내외에서 스테이블코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국내 1위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와 간편결제 1위 네이버페이가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을 위해 손을 잡는다.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업비트 운영사인 두나무가네이버페이와 원화 스테이블코인을 이용한 결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국내 1위 사업자 네이버페이-업비트, 원화 스테이블코인 사업 위해 협력
두나무 측은 네이버페이가 주도하고 두나무가 협력하는 방식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관련 제도가 마련되는 대로 협력 범위와 방안 등을 구체화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네이버페이는 앞서 6월 26일 개최한 서비스 출시 10주년 행사에서 제도화 여부를 살펴보면서 적극적으로 스테이블코인 사업에 나서겠다는 뜻을 밝혔다. 네이버페이와 두나무는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법제화에 맞춰 사업을 준비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한국은행이 비은행에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용할 땐 유관 기관의 만장일치 결정을 거치는 방안을 제시했다.
⦁한은의 플랜B…"스테이블코인 발행 허용은 미국처럼 만장일치로"
한은이 최근 원화 스테이블코인 발행 인가 단계에서 한은을 포함하는 관련 기관 간의 합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국정기획위원회에 전달했다. 한은은 "범부처 차원의 규제 대응이 필요하다"며 "유관 부처 간 합의 기반의 정책기구를 구성하는 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리플(XRP) [사진: 셔터스톡]
리플이 영국 핀테크 기업 오픈페이드와 협력해 자금을 보다 빠르고 저렴하게 국가간에 걸쳐 이동하려는 기업들을 위한스테이블코인 및 결제 인프라를 구축한다고 코인데스크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리플, 스테이블코인·결제 인프라 강화…美 은행 라이선스도 신청
이번 협력은 리플 USD(RLUSD) 스테이블코인발행·소각을 지원하며, 기업들크로스 보더결제와 유동성 관리를 간소화하는 것이 목표다. 리플은미국 통화감독청(OCC)에 국가 은행 라이선스도신청했다고 발표했다. 라이선스를 획득하면 리플은 연방 규제 아래암호화폐 서비스를 확장할 수 있다.
JP모건이 3일(현지시간) 스테이블코인 시장의 2028년 전망을 기존 1조달러에서 5000억달러로 하향 조정했다고 4일 코인포스트가 보도했다.
⦁JP모건, 스테이블코인 시장 전망 하향…2028년 5000억달러 예측
JP모건은 스테이블코인의 결제 활용이 전체 수요의 6%(약 150억달러)에 불과하며주된 용도는 암호화폐 거래, 디파이(DeFi), 담보 제공이라고 분석했다.
코인베이스(COIN)가 서클 달러 스테이블코인인 USDC 유통을 넘어 결제와 금융 서비스로의 확산도주도하고 있다고 코인데스크가월가 중개업체 번스타인 리서치 보고서를 인용해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코인베이스, 서클 USDC 확산 주도…스테이블코인 기반 매출도 증가
코인베이스는 최근 스트라이프, 쇼피파이와 협력해 '코인베이스 페이먼츠'를 출시했으며,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을 위한 '코인베이스 비즈니스'도 선보였다. 두 서비스 모두 서클USDC를 활용한다.
미국 하원이 7월 14일부터 18일까지를 '암호화폐 주간'(Crypto Week)으로 공식 지정하고, 스테이블코인과 암호화폐 시장 구조,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관련 법안을 본격 논의한다.
⦁美 하원 '암호화폐 주간' 공식 지정…스테이블코인·CBDC 법안 처리 전망
3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블록에 따르면 하원 공화당 지도부는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인 지니어스(GENIUS), 디지털 자산 시장 명확화법(CLARITY), CBDC 감시 국가 반대법(CBDC Anti-Surveillance State Act)을 포함한 세 가지 암호화폐 관련 법안을 논의 대상으로 공식 발표했다. 하원은 지난 6월 상원에서 통과된 지니어스 법안을 가장 우선적으로 검토할 계획이다.
미국 하원이 '암호화폐 주간'을 선언하고 스테이블코인, 시장 구조, CBDC 관련 법안을 본격 논의한다.[사진: 셔터스톡]
유럽 최대 자산운용사 아문디(Amundi)의 최고투자책임자(CIO) 빈센트 모르티에(Vincent Mortier)가 미국이 추진 중인 스테이블코인 규제법인 지니어스(GENIUS)가 달러의 장기적 지배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美 스테이블코인 법제화, 달러 패권에 '독' 된다…RWA 시장엔 기회
3일(이하 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모르티에 CIO는 최근 로이터와의 인터뷰에서 "이 법안은 천재적일 수도, 재앙이 될 수도 있다"며 "달러 약세를 부추길 수 있는 새로운 대안을 시장에 만들어낼 가능성이 있다"라고 우려했다.
미국 상원의원 신시아 루미스가 암호화폐 세제 개혁안을 제출하면서 디파이(DeFi) 시장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美 루미스 상원의원, 암호화폐 세제 개혁안 추진…디파이 시장에 긍정적 신호
4일(현지시간)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루미스 의원은 "미국인들이 디지털 경제에 참여하면서 불필요한 세금 문제에 직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법안"이라고 밝혔다.
2025년 상반기 상장사들이 비트코인을 대거 사들이며 디지털 자산을 재무 전략으로 삼는 흐름이 확산됐다.
⦁올해 상반기 상장사들, 24만5510 BTC 매입…전년 대비 375% 증가
크립토슬레이트에 따르면 상반기 상장사들이 매입한 비트코인은 총 24만5510개로,같은 기간 ETF들이 매입한 물량 대비두 배 규모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375% 증가한 수치다.
비트코인 창시자 사토시 나카모토 [사진: 셔터스톡]
14년 간 움직이지 않던 대규모 비트코인이 갑자기 거래되면서 비트코인 창시자로 알려진 사토시 나카모토와 관련된 루머까지 확산되고 있다고 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사토시가 돌아왔나?" 14년 잠든 비트코인 깨어나자 시장 흔들…루머 확산
86억달러 규모비트코인이 14년 만에 이동해 관심을 끌고 있는 가운데 해킹 가능성도제기됐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14년 간 잠자던 86억달러 비트코인 이동, 해킹 때문일 수도"
코인텔레그래프는 코인베이스 제품 책임자 코너 그로건을 인용해이번 자금 이동이 해킹으로 인한 것이라면, 역사상 최대 규모도난 사건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스트래티지(구 마이크로스트레티지)가 비트코인 투자 리스크를 축소 발표했다는 이유로 주주들에게 집단소송을 당했다.
⦁스트래티지, 비트코인 투자 리스크 은폐 논란…집단소송 직면
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는 미국 뉴욕에 본사를 둔 포메란츠 로펌이 마이크로스트레티지와 일부 임원들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했다고 보도했다. 소송은 2024년 4월 30일부터 2025년 4월 4일까지 스트래티지에 투자한 주주들을 대표한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암호화폐 상장지수펀드(ETF)의 승인 절차를 간소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美 SEC, 암호화폐 ETF 승인 절차 간소화 검토
제안된 개편안에 따라 향후 ETF 발행사는 19b-4 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아도 될 가능성이 있다. 19b-4는 발행사가 거래소에 금융 상품을 상장하기 전에 SEC에 제출하는 양식이다.
미국 증권산업금융시장협회(SIFMA)가 암호화폐 기업들의 토큰화 주식 거래 요청에 반대하며 SEC에 강력한 우려를 전달했다고 3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보도했다.
⦁SEC, 토큰화 주식 허용할까? 전통금융업계 반발 확산
SIFMA는 암호화폐 기업들이 토큰화 주식 거래를 위해 '무조치(No-Action)' 및 '면제(Exemptive)' 요청을 제출한 것에 대해 기존 증권법을 우회하려는 시도로 보고 있다.
로빈후드 [사진: 셔터스톡]
자산 거래 플랫폼 로빈후드가 주식 거래를 블록체인에서 진행하는 계획을 발표한 가운데, 뉴욕증권거래소(NYSE)기존 수익 구조를 흔들 가능성이 제기됐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5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빈후드 주식 토큰화, 뉴욕증권거래소 수익 구조 위협
갤럭시디지털은 로빈후드가 선보인이더리움 호환 블록체인 ‘로빈후드 체인’이 전통 금융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킬 것이라고 분석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이 블록체인 기반 유로 결제 시스템을 2026년까지 시범 운영한다고 2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텔레그래프가 전했다. 이는 유럽 금융 시스템을 디지털화하는 핵심 조치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도입을 위한 필수 단계다.
⦁유럽, 2026년까지 블록체인 기반 유로 결제 시스템 시범 운영
단기 프로젝트 ‘폰테스(Pontes)’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과 기존 유로존 결제 시스템인 ‘타겟 서비스’를 연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ECB는 2024년 블록체인 실험 결과를 반영해 2026년 3분기까지 파일럿 프로그램을 시작할 계획이다.
일본 금융청(FSA)이 비트코인을 포함한 암호화폐를 금융상품거래법(FIEA)규제 대상에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日 금융청, 금융상품거래법 개정 추진…비트코인 ETF 근거 마련
25일에는 관련안건이 금융제도협의회에 제출돼 심의에 들어간다.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일본 내에서도 비트코인 ETF정식 발행이 가능해진다.
후쿠오카 파이낸셜 그룹 산하의 인터넷 은행인 민나노 은행(みんなの銀行)이 솔라나(Solana) 기반 스테이블코인 및 웹3(Web3) 월렛 개발을 위한 협력에 나선다고 4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일본 인터넷 은행, 솔라나 손잡고 스테이블코인 사업 시동
이번 프로젝트에는 솔라나 재팬, 파이어블록스, 대형 IT 기업 TIS가 참여하며, 향후 스테이블코인 발행 및 웹3 금융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술 검증이 진행된다.
중국 이커머스 대기업 JD닷컴과 앤트그룹이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에 위안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허가해줄 것을요청했다고 코인텔레그래프가 3일(현지시간) 보도했다.
⦁JD닷컴-앤트그룹, 위안화 스테이블코인 추진…미국 달러 지배력 도전
이들 업체는오프쇼어 위안화(중국 본토 외부에서 유통되는 위안화)를 홍콩에서 스테이블코인으로 발행해 글로벌 무역에서 달러영향력을 줄인다는 계획이다.
홍콩 암호화폐 ETF는 시장 장애물에 직면해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사진: 셔터스톡]
홍콩 특별행정구 정부는‘디지털자산 발전정책 선언 2.0’(he Hong Kong Digital Assets Development Policy Declaration 2.0)을 공식 발표하고글로벌 디지털 금융 혁신 허브로의도약을 선언했다.
⦁홍콩, 디지털 자산 금융 강국 선언…4대 전략 본격 추진
이번 정책은 ‘LEAP’이라는 4대 전략 프레임을 중심으로, 법제 정비(Legal), 토큰화 제품 확대(Expanding), 활용 사례 개발(Advancing), 인재 및 파트너십 구축(People)을 포괄하는 중장기 로드맵을 담고 있다.
캐나다 중앙은행이 디지털 캐나다달러(CBDC) 도입을 위한 기술적 설계안을 제시했다고 코인데스크가 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캐나다 중앙은행, CBDC 기술 설계안 공개…프라이버시 초점
캐나다 중앙은행이 내놓은 내용은매사추세츠공대(MIT) 디지털통화이니셔티브와 공동 개발한 ‘오픈CBDC 2PC’ 모델을 바탕으로, 프라이버시·속도·분산화를 핵심 요소로 하고 있다.
도이치뱅크가 2026년부터 고객들이 비트코인(BTC) 등 암호화폐를 보관할 수 있는 커스터디(수탁) 서비스를 도입한다.
⦁도이치뱅크, 2026년 암호화폐 커스터디 서비스 출시한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번 서비스는 오스트리아 기반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판다(Bitpanda)의 기술 부서와 협력해 개발되며, 도이치뱅크가 지원하는 스위스 기술 업체 타우루스(Taurus)도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한국인터넷진흥원(KISA)과 2025년 '에이블(ABLE)' 1차 정례회의를 오는 9일 서울 드래곤시티에서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블록체인 수요·공급자 협의체 '에이블' 올해 첫 정례회의 개최
이번 회의는 '디지털자산과 블록체인, 신뢰 기반의 새로운 디지털 경제 미래를 열다’'를 주제로 새 정부 공약과 연계된 블록체인·디지털자산 활성화 방향, 블록체인과 실물경제 접목, 글로벌 진출 가속화 등을 중심으로 향후 블록체인 산업 진흥과 정책 방향을 논의한다.
웹3 벤처캐피털 해시드가 일본 벤처투자사 비대쉬벤처스 오는 8월 27일 일본 도쿄에서 ‘블록체인 리더스 서밋 도쿄 2025(Blockchain Leaders Summit Tokyo 2025, 이하 BLS 도쿄 2025)’를 공동 개최한다.
⦁해시드, 8월 ‘블록체인 리더스 서밋 도쿄 2025’ 공동 개최
‘BLS 도쿄 2025’는 글로벌 웹3 리더들과 일본의 정부·기관·산업계 주요 인사들을 상대로한 프라이빗 컨퍼런스다.
[사진: 업비트]
업비트 NFT는 7월 4일부터 한 달 간 매주 금요일 총 4차례에 걸쳐 현대미술 거장들의 작품을 실물 연계 대체불가토큰(NFT)으로 선보이는 ‘컬렉터스 위크엔드(Collector’s Weekend)’를 진행한다.
⦁업비트 NFT, 미술작품 실물 연계 경매 ‘컬렉터스 위크엔드’ 진행
‘컬렉터스 위크엔드’는 연초에 선보인 이중섭, 김환기, 이우환 등 국내 대표 미술 거장들의 작품 실물 연계 드롭스에 이어 이번에는 세계적으로 손꼽히는 작가들의 작품군을 실물 연계 NFT로 소개한다.
가상자산 거래소 코인원이 7월 4일부터 USDS, USDC, USDT 스테이블코인 3종의 거래왕 랭킹전 이벤트를 릴레이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코인원, 스테이블코인 3종 ‘릴레이 거래왕 랭킹전’ 진행
USDS 거래왕 랭킹전이 7월 4일 오전 10시부터 8일까지 진행된다. 기간 중 이벤트 코드(2507USDS)를 등록한 후 USDS를 거래하면 참여할 수 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