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바이낸스
[CBC뉴스]최근 국내 주요 법 집행 기관 담당자들이 가장 많이 다루는 가상자산 이용 범죄 유형은 ‘투자 사기’와 ‘보이스피싱’인 것으로 나타났다.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는 경찰수사연구원, 경찰청 등 주요 법 집행 기관의 담당자 224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결과, 응답자의 40.6%가 '투자 사기'를, 23.6%는 '보이스피싱'을 가장 흔한 범죄 유형으로 꼽았다. 이 외에도 '해킹'(14.2%), '로맨스스캠' 및 '마약'(각 6.6%) 등이 뒤를 이었다.
법 집행 기관 담당자들은 가상자산 범죄 수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정보로 '거래소의 KYC 정보'를 꼽았으며, '블록체인 거래 내역', '계좌 및 금융 거래 정보', 'IP 접속 기록' 등도 중요한 요소로 언급했다. 이는 실제 거래 주체를 확인하고 자금 흐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범죄 해결의 핵심임을 시사한다.
그러나 가상자산 범죄 수사에서 가장 큰 어려움은 '지식 및 전문성 부족'(58%)으로 나타났으며, '익명 거래 추적의 어려움'(25.8%)과 '수사 도구 및 자원의 부족'(9.3%)도 지적됐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거래소와의 협력 관계 강화, 수사 도구 업그레이드, 지속적인 전문 교육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바이낸스의 법 집행기관 교육책임자인 야렉 야쿠벡은 "가상자산이 일반 시민을 대상으로 한 금융 범죄에도 악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범죄가 점차 조직화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민간 분야의 전문성과 공공의 집행력이 결합된 긴밀한 공조 체계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실용적인 교육 프로그램 확대와 범죄 예방을 위한 정보 및 기술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바이낸스는 국내외 주요 법 집행 기관을 대상으로 가상자산 범죄 예방 및 수사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세미나를 개최했으며, 600여 명의 관계자가 참석했다. 이번 세미나는 유로폴 사이버범죄센터에서 활동했던 야렉 야쿠벡이 총괄했으며, 경찰청 국가수사본부에서 가상자산 수사를 담당했던 김민재 바이낸스 조사전문관이 기획에 참여했다.
★ 네티즌 어워즈 투표하러 가기 ▶
★ 실시간 뉴스속보 – CBC뉴스 텔레그램 ▶
★ CBC뉴스 – gonewsi로 전 세계 타전 ▶
▮ CBC뉴스ㅣCBCNEWS 권오성 기자
저작권자 © CBC뉴스 | CBCNEWS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권오성 기자
다른기사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