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페이 고위 임원들이 암호화폐 사기 피해 의혹에 휘말렸다. [사진: 문페이]
[인포진 AI리포터]미국 법무부가 불법적으로 취득한 암호화폐를 회수하려는 과정에서 피싱 사기의 피해자가 암호화폐 결제 기업 문페이의 최고경영자(CEO)와 최고재무책임자(CFO)일 가능성이 드러났다.
12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블록이 인용한 법무부 문서에 따르면, 법무부는 테더가 동결한 4만350달러 상당의 USDT를 압수하는 과정에 두 피해자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위원회 공동의장인 스티브 위트코프를 사칭한 인물에게 25만300달러를 송금한 사실을 밝히고 있다.
바이낸스 기록에 따르면 이 자금은 나이지리아 라고스에 거주하는 에히레멘 아이그보칸(Ehiremen Aigbokhan)이 등록한 지갑으로 전달됐다. 법무부 문서는 "IP 위치 추적 결과, 해당 이메일이 미국이 아닌 나이지리아에서 발송된 것으로 나타났다"며 "아이그보칸이 사기 행위로 미국에서 나이지리아로 자금을 송금받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문서에는 피해자를 '이반'(Ivan)과 '모우나'(Mouna)로만 명시했지만, 이들은 이반 소토-라이트(Ivan Soto-Wright) 문페이 CEO와 모우나 암마리 시알라(Mouna Ammari Siala) CFO일 가능성이 크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해당 거래에 사용된 지갑 중 하나가 이더스캔에서 문페이 지갑으로 식별됐으며, 2023년 소송에서는 소토-라이트가 같은 지갑을 개인 용도로 사용했다고 주장됐다.
이번 피싱 사기는 복잡한 블록체인 해킹이 아닌 단순한 이메일 조작으로 이뤄졌다. 피싱 이메일 주소([email protected])는 대문자 'I' 대신 소문자 'l'을 사용해 정식 이메일처럼 보이도록 했으며, 이는 많은 서체에서 두 글자가 거의 동일하게 보이는 점을 악용한 전형적인 수법이다. 또 다른 피싱 이메일([email protected])도 유사한 방식으로 조작됐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