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치뱅크. [사진: 셔터스톡]
[인포진 AI리포터]도이치뱅크가 2026년부터 고객들이 비트코인(BTC) 등 암호화폐를 보관할 수 있는 커스터디(수탁) 서비스를 도입한다.
1일(현지시간) 블룸버그에 따르면 이번 서비스는 오스트리아 기반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판다(Bitpanda)의 기술 부서와 협력해 개발되며, 도이치뱅크가 지원하는 스위스 기술 업체 타우루스(Taurus)도 참여할 것으로 알려졌다.
도이치뱅크는 2020년부터 암호화폐 시장 진입을 모색해왔으며, 이번 프로젝트는 디지털 자산 보관 시장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도이치뱅크는 최근 몇 년간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관심을 높여왔다. 앞서 도이치뱅크의 디지털 자산 책임자 사비흐 베흐자드(Sabih Behzad)는 지난 6월 스테이블코인 시장 진출 가능성을 언급하며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이나 관련 프로젝트 참여를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도이치뱅크는 결제용 토큰화된 예금 솔루션 개발 여부도 평가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지난해 말에는 이더리움 기반 L2 블록체인을 개발 중이며, 지케이싱크(ZKsync)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보도된 바 있다.
2023년 도이치뱅크는 타우루스와 협력해 암호화폐 커스터디 옵션을 제공할 계획을 발표했으며, 이를 위해 독일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라이선스를 신청했다. 또한 2024년 6월부터 비트판다와 협력해 암호화폐 결제 개선 작업도 진행 중이다.
한편 같은 날 독일 대형 은행인 스파르카센파이낸츠그룹(Sparkassen-Finanzgruppe)도 5000만 고객을 대상으로 암호화폐 거래 서비스를 도입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