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커스터디 키워 국부유출 막아야’ [비트코인 서울 2025]

BTCC

조진석(왼쪽부터) 코다 대표, 도예리 서울경제신문 기자, 강병하 웨이브릿지 CIO가 6일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 서울에서 열린 비트코인 서울 2025에서 ‘비트코인 안전하게 보관하기’를 주제로 대담하고 있다. 조태형 기자

올해 하반기부터 허용되는 국내 상장사의 가상자산 매매와 관련해 금융위원회의 가이드라인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상자산 업계는 상장사의 본격적인 시장 참여에 앞서 국내 커스터디(수탁) 시장을 활성화 해 국부 유출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진석 코다 대표는 6일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 서울에서 열린 ‘비트코인 서울 2025’ 행사에서 “금융위원회의 민관 태스크포스(TF)에 참여하고 있으며 상장사의 가상자산 매입·운영 관련 가이드라인은 현재 90%가량 완성됐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달러 체제 균열…비트코인이 대안” [비트코인 서울 2025]”코인 탈취 위협, 다중서명 기술로 막아야” [비트코인 서울 2025]”서울이 아시아 가상자산 허브로 도약해야” [비트코인 서울 2025]”가상자산은 멈출 수 없는 열차…K팝·금융과 결합땐 강점” [비트코인 서울 2025]

조 대표는 “올 하반기 가상자산 매매 허용을 앞두고 매입 방식, 보유 비중, 내부 통제 방안 등을 묻는 상장사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며 “이와 관련한 사항들이 금융위 가이드라인에 상세히 규정될 예정이며 각 기업이 자사 특성에 맞춰 즉시 적용할 수 있도록 준비 중”이라고 설명했다.

업계는 상장사들의 가상자산 보유 확대가 예고된 만큼 이들이 매입한 가상자산을 해외가 아닌 국내 커스터디 업체에 수탁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금융당국이 우려하는 자본 유출을 방지하려면 국내 커스터디 인프라 구축이 필수적이라는 주장이다.

강병하 웨이브릿지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상장사가 이미 가상자산을 보유하고 있다면 해외보다 국내 업체에 수탁해 국내에 가상자산을 비축하도록 해야 한다”면서 “최소한 커스터디는 국내에서 이뤄지는 구조가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국내 커스터디 시장의 구조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강 CIO는 “미국 코인베이스는 분사를 통해 별도 자회사에서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업비트·빗썸 등 국내 거래소는 사실상 자체적으로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거래소가 커스터디까지 모두 맡는 건 금융시스템 상 큰 위험요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전업 커스터디 업체들이 형성돼야 규모의 경제가 형성될 것”이라고 말했다.

규제 환경 개선도 과제로 지적됐다. 조 대표는 “국내 커스터디 사업자는 지난해 가상자산이용자보호법 시행 이후 금융감독원 감사를 받는 등 촘촘한 규제를 받고 있다”며 “빗고, 파이어블록스 등 글로벌 업체 대비 인력과 자본 측면에서 열위에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현재는 고객이 맡긴 자산을 운용하는 것도 금지돼 있는데 하반기 2단계 법안에 가상자산 운용업이 포함될 경우 사업자들이 라이선스 기반으로 운용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기대했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