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자산(암호화폐) [사진: 셔터스톡]
[인포진 강진규 기자] 국내 가상자산 시가총액이 100조원을 넘긴 것으로 분석됐다.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17개 거래소와 8개 보관·지갑업자 등 25개 가상자산 사업자를 조사한 '2024년 하반기 가상자산사업자 실태조사 결과'를 20일 발표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상자산 가격이 상승하고 시장규모가 확대되면서 지난해 말 시가총액은 107조7000억원으로 같은 해 6월말(56조5000억원) 대비 91% 늘었다.
하반기 일평균 거래규모는 7조3000억원으로 상반기(6조원) 대비 22% 늘었고, 원화 예치금도 10조7000억원으로 6월말(5조원) 대비 114% 급증했다.
이에 따른 사업자들의 영업이익 역시 상반기 5813억원 대비 28% 늘어난 7415억원을 기록했다. 다만 원화마켓의 일평균 거래규모가 7조3000억원으로 22% 증가한 데 비해 코인마켓 거래는 1억6000만원으로 81% 감소했다.
영업이익 역시 원화마켓이 7572억원을 기록한 반면 코인마켓은 126억원의 적자를 냈다. 거래소 종사자는 총 1862명으로 작년 상반기 대비 18% 증가했고, 자금세탁방지(AML) 업무 관련 인원은 총 207명으로 같은 기간 46% 증가했다.
지난해 말 기준 국내에서 거래되는 가상자산은 1357개(중복 포함)로 작년 6월말(1207개) 대비 12% 늘었다.
지난해 하반기 가상자산 신규 상장은 총 127건으로 상반기 대비 19% 감소했고, 거래중단(상장폐지)은 31건으로 54% 감소했다. 가상자산의 가격 변동성(최고점 대비 가격하락률)은 68%로 작년 상반기보다 2%p 감소했다. 이는 같은 기간 주식시장(코스피 18.5%, 코스닥지수 27.4%) 대비 큰 변동 폭이다.
가상자산 시장 확대로 거래 가능한 이용자 역시 증가해 1000만명에 육박했다. 지난해 말 고객확인의무를 완료한 거래가능 개인·법인 이용자는 970만명(중복 포함)으로 6월말 대비 25% 늘었다. 지난해 상반기와 마찬가지로 30대(29%) 비중이 가장 높았고 이어 40대(27%), 20대 이하(19%), 50대(18%), 60대 이상(7%) 등 순으로 이용자 규모가 컸다.
이용자의 66%는 50만원 미만을 보유했으며 1000만원 이상 자산 보유자 비중은 12%(121만명)로 6월말 대비 2%p 증가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