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코인 전문가 총집결…韓 가상자산 관심 후끈 [비트코인 서울 2025]

BTCC

‘비트코인 서울 2025’를 찾은 참석자들이 4일 서울 사전등록을 마친 뒤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조태형 기자

서울 송파구 시그니엘 서울에서 4일 막을 올린 ‘비트코인 서울 2025’ 행사장에는 전세계 가상자산 전문가와 투자자, 개발자들로 북적였다. 이날은 주요국의 핵심 관계자와 소수 토론 패널만 참석하는 비공개 세션인 ‘VIP데이’였지만 100여 명가량이 몰리면서 열기를 더했다.

행사장 내부에서는 영어와 스페인어 등 다양한 언어가 오갔다. 본격적인 세션이 시작되기도 전에 참석자들은 서로 연락처를 주고받으며 인사하기 바빴다.

관련기사 “韓 상장사와 비트코인 편입전략 논의…2~3개월 내 한국판 스트래티지 나올 것” [비트코인서울 2025]”가상자산 현물 ETF, 비트코인 등 한정…직접투자보다 안정적” [비트코인서울 2025]엘살바도르 교육단체 “비트코인 대중화, 기술보다 문화가 관건” [비트코인서울 2025]”美정부 전략자산 지정…비트코인, 실생활 결제 확산 속도낼 것” [비트코인서울 2025]

이번에 한국을 처음 방문했다는 블록체인 벤처캐피털(VC) 엑스파운더의 에라세브 페도르는 “한국 스타트업과 연결되기를 기대하고 있다”며 “이번 행사 직전부터 이미 두 곳의 한국 기업과 실무 연락을 시작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의 가상자산 사용 현황에 대해서도 연달아 질문을 던지며 관심을 보였다. 엑스파운더는 아제르바이잔과 러시아, 엘살바도르 등 다양한 국가 출신 블록체인 전문가들이 모여 설립한 글로벌 VC다.

참석자들 사이의 대화 주제는 자연스럽게 최근 대선 결과로 옮겨갔다. 가상자산을 다루는 스테판 리베라 팟캐스터는 “한국의 새로운 대통령이 친가상자산 공약을 내건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정권이 이를 실제로 이행한다면 글로벌 흐름과도 부합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스카이프가 처음 등장했을 때도 정부는 싫어했지만 결국은 세상을 바꾼 혁신 기술이 됐다”면서 “비트코인도 혁신 기술이라는 점에서 스카이프와 비슷하지만 자산을 형성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층 더 큰 의미를 지닌다”고 덧붙였다.

국내에서도 가상자산을 실생활에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늘고 있다. 행사장을 찾은 한 국내 관계자는 “요즘 비트코인 결제를 받는 소상공인을 지원하려는 민간 움직임도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비트코인 지갑 월렛오브사토시의 한국어 번역도 커뮤니티 주도로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민간을 중심으로 한국에서도 비트코인 사용 사례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Related Posts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율 연 1.3% 확정…분기마다 지급

업비트 예치금 이용료 지급 관련 공지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가 이용자의 원화 예치금에 연 1.3%의 이용료를 지급하기로 확정했다.19일 업비트는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통해 19일 일마감잔고부터 연 1.3%의 이용료를 적용해 3개월마다 지급한다고 밝혔다. 지급시기는 매 분기 첫 날로부터 10일 이내다. 업비트는 “예치금 이용료는 유효한 고객확인정보가 있는 국내 거주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다”며 “이용료율은 회사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고…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