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열린 '가상화폐 서밋'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CBC뉴스]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친 가상화폐' 정책에 기대를 걸었던 가상화폐 투자자들이 큰 손실을 보고 있다. 특히 레버리지 투자자들이 타격을 받으며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는 뉴욕 증시가 급락한 가운데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주가를 두 배로 추종하는 상장지수펀드(ETF)가 30% 넘게 폭락했다고 보도했다.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비트코인을 가장 많이 보유한 기업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함께, 가상화폐 거래 플랫폼으로 인기가 높은 로빈후드의 주가를 두 배로 추종하는 펀드도 40% 하락했다.
비트코인
[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비트코인 가격을 두 배로 추종하는 ETF 역시 20% 급락하면서 가상화폐 업계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블록웍스의 도노바 초이는 백악관에서 열린 '가상화폐 서밋'을 "겉모습만 화려하고 실속은 없는 행사"라고 평가하며 신중한 태도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전쟁 확대와 미국 경제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트럼프 트레이드'로 주목받던 투기성 종목들이 크게 타격을 받고 있다. 스트래테가스의 수석 ETF 전략가 토드 손은 이러한 환경에서 레버리지 ETF와 같은 종목에 대한 과도한 노출을 경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존스트레이딩의 수석 투자전략가 마이클 오루크는 최근의 시장 혼란을 "과도기"로 언급하며, 투기성 종목에서 공격적인 매도세가 나타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해 대규모 자금이 유입되며 '트럼프 트레이드'의 선두권에 있었던 '아이셰어스 비트코인 트러스트 ETF'도 최근 자금 유출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테슬라 주가를 두 배로 추종하는 '디렉시온 데일리 TSLA 불 2X 세어스'는 올해 들어 70% 넘게 폭락해 투자자들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트럼프 행정부의 불확실한 가상화폐 정책이 투자자들에게 큰 손실을 안겨주고 있음을 시사한다.
대세상승장에서 긍정적 흐름을 보이던 리플도 3천원선이 위태하다. 리플은 최근 한 전문가가 8달러 이상을 제시한 바 있다. 시장의 흐름을 지켜보면서 대응할 필요가 있다.
[본 기사는 투자 권유 기사가 절대 아닙니다. 해당 내용은 견해에 불과할 수 있으니 투자에 참고로 하거나 자료로 반영하시지 않기 바랍니다. 모든 투자는 각자의 판단으로 선택해서 하는 것으로 최종적 책임은 투자자에게 있다는 점을 알려드립니다. 본지는 절대로 책임을 지지 않습니다.]
★ 나와 스타의 연대기 '네티즌 어워즈' 투표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