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재무부 산하 OFAC가 폐쇄된 다크웹 네메시스 마켓플레이스와 연관된 49개 암호화폐 지갑을 제재했다. [사진: 셔터스톡]
[인포진 AI리포터] 미국 재무부 산하 외국자산통제국(OFAC)이 폐쇄된 다크웹 네메시스(Nemesis) 마켓플레이스와 관련된 49개의 암호화폐 지갑을 제재 대상으로 지정했다.
4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더블록에 따르면 OFAC는 네메시스 다크넷 마켓플레이스의 관리자라고 추정되는 이란 국적의 베흐루즈 파르사라드(Behrouz Parsarad)가 사용한 49개의 암호화폐 주소를 확인했다. 이중 44개는 비트코인(BTC) 주소, 5개는 모네로(XMR) 주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네로는 거래의 익명성을 높여주는 프라이버시 코인으로, 거래 세부 정보와 식별 정보를 숨기는 데 사용된다.
파르사라드는 지난해 국제 법 집행 작전의 대상이 되었으며, 네메시스는 폐쇄되기 직전까지 약 3만 명의 활성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 사이트는 3년 동안 운영되며 3000만달러 상당의 마약 거래를 중개한 것으로 알려졌다.
OFAC는 성명을 통해 "파르사라드는 네메시스 사용자들에게 매 거래마다 수수료를 부과해 수백만 달러를 벌어들였다"라며 "네메시스에서 활동하는 마약 밀매자 및 사이버 범죄자들을 위해 암호화폐를 세탁하는 데도 관여했다"라고 밝혔다.
네메시스는 다양한 마약, 개인 식별 정보, 위조 서류, 랜섬웨어뿐만 아니라 피싱과 DDoS 도구 같은 사이버 범죄 서비스를 제공했다. 이번 제재는 펜타닐 거래를 근절하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파르사라드는 아직 체포되지 않았으며, 이전 공급업체들과 새로운 다크넷 마켓플레이스를 개설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재무부는 최근 몇 년간 여러 다크넷 사이트를 폐쇄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실크로드 폐쇄 이후 최대 규모의 단속으로 꼽히는 하이드라 마켓을 폐쇄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