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사진: Reve]
[인포진 홍진주 기자]미국 정부가 비트코인(BTC) 보유량을 늘리기 위해 알트코인 매각과 관세 활용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21일(현지시간) 블록체인 매체 코인포스트가 전했다.
알렉스 손 갤럭시 디지털 리서치 총괄은 엑스(구 트위터)를 통해 "미국 정부가 올해 전략적 준비금으로 비트코인을 매입할 가능성이 있다. 미국이 납세자 부담 없이 비트코인을 확보할 가장 간단하면서도 가능성 있는 방법이 있다"라며 정부가 보유한 알트코인을 BTC로 교환하는 전략을 제안했다.
손은 정부가 보유 중인 알트코인 일부를 매각해 비트코인을 확보하는 방법이 가장 현실적이고 쉬운 경로라며, 이는 비축된 자산을 현금화하지 않고 암호화폐 간 거래로 예산 중립을 유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3월 비트코인을 전략비축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형사 혹은 민사 재판 과정에서 연방정부에 몰수된 암호화폐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재무부와 상무부는 예산 증액 없이 비트코인을 매입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다.
미국 연방정부는 미국 정부 전체가 보유한 디지털 자산, 비트코인 현황과 비축 방안 등을 면밀히 조사해 재무부에 보고하도록 지시하고 있다.
신시아 루미스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 [사진: 위키미디어]
또한 트럼프 행정부는 앞서 비트코인을 전략자산으로 간주하고, 관세 수익을 활용해 비트코인을 매입하는 방안을 모색 중이라는 발언을 내놨다. 디지털 자산 대통령 실무 그룹 책임자인 보 하인스(Bo Hins)는 지난 14일 "관세 수익이 비트코인 확보에 활용될 수 있다"라며 "각 기관이 비트코인 준비금 기여 방안을 평가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하인즈는 각 정부 기관이 비트코인 준비금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30일, 60일, 그리고 향후 예정된 180일 간의 마일스톤을 설정해 규제 환경을 점검하고 개선안을 마련 중이라며, 이를 통해 미국 연방 정부의 통일된 전략이 수립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전했다.
아울러 신시아 루미스 상원의원 역시 미국의 금 보유량을 재평가해 비트코인 구매에 활용하는 법안을 제안한 상태다. 루미스 의원은 미국이 보유하고 있는 금 보유량이 과소평가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며, 이를 현재 가격으로 재평가하고 그 차액을 비트코인 조달에 충당하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이외에도 비트코인 정책 연구소(BPI)의 매튜 파인즈(Matthew Pines) 전무이사는 관세 수입 외에 석유 및 가스 임대료 등 세금 이외의 정부가 징수하는 수수료 등을 비트코인 매입 재원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기도 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