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포진 황치규 기자]아시아 웹3 전문 리서치 및 컨설팅사 타이거리서치가 홍콩 웹3 시장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14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홍콩은 기존 금융 기반이 웹3 시장으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중국과 관계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과 중국 본토 및 아시아 시장을 연결하는 '슈퍼 커넥터'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일국양제(一國兩制)' 체제 아래 높은 자치권을 활용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보고서는 지난 2월 홍콩 증권선물위원회(SFC)가 발표한 ‘ASPIRe’ 로드맵을 주목했다. 이 로드맵은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규제 방향을 제시하며, ‘동일 비즈니스, 동일 리스크, 동일 규칙’ 원칙에 따라 전통 금융 시장 보호장치를 가상자산 시장에도 적용하는 한편, 가상자산 고유한 특성을 반영한 조정을 추구한다.
보고서는 홍콩이 아시아 최초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현물 ETF를 승인하는 등의 행보도 주목했다. 2024년 4월 6개 암호화폐 ETF들이 출시됐고 현재 운용자산은 약 4억달러 규모다.
보고서는 규모가 작은 홍콩 내수시장으로 인해 현재 미국 위주 시장이 형성돼있으나 높은 운용 수수료 등의 단점을 보완하고 향후 중국 자본이 유입된다면 시장 판도가 바뀔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실물자산 토큰화(RWA) 분야에서도 홍콩은 2022년부터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다. 보고서는 홍콩금융관리국(HKMA) '프로젝트 앙상블'과 '스테이블코인 샌드박스'를 통해 디지털 자산 생태계가 체계적으로 발전하고 있으며, HSBC, 스탠다드차타드은행 등 주요 은행과 블랙록 같은 글로벌 자산운용사들 참여가 두드러진다고 전했다.
보고서 저자인 타이거리서치 윤승식 선임 연구원은 “홍콩은 컨센서스 2025 행사에서 선도적인 규제 발표를 통해 글로벌 플레이어들에게 매력적인 시장으로 부상했다”며 “지속적인 규제 발전을 통해 기존 금융 허브를 넘어 웹3 산업을 선도하는 중심지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인포진 텔레그램 뉴스채널 구독하기(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