폴리곤 창립자 “AI 발전, 암호화폐 인센티브가 지름길”

BTCC

암호화폐가 인공지능(AI)의 대중화를 가속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폴리곤(Polygon) 공동 창립자 샌딥 나일월은 1일 열린 코인텔레그래프(Cointelegraph) 주최 ‘롱기튜드(LONGITUDE)’ 행사에서 “크립토 인센티브를 활용하면 사용자를 AI 스타트업 생태계로 유입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온체인 보상 설계를 효과적으로 구현한 프로젝트는 개발자 참여를 유도할 수 있어, 더 경쟁력 있는 AI 시스템 구축이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나일월은 “이런 인센티브 엔진은 프로젝트에 유입되는 리소스를 밀도 있게 만들 수 있다”며 “결국 더 나은 인공지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롱기튜드는 블록체인과 웹3 생태계의 리더 및 혁신가들이 지식을 공유하는 프라이빗 행사를 표방한다. 이날 패널 토론에 함께 참여한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 공동 창립자 일리아 폴로슈킨은 암호화폐와 AI의 장기적인 융합 가능성에 주목했다. 그는 “웹 기반 프로그램이나 사이트는 더 이상 필요 없다”며 “AI가 컴퓨팅과 인터넷의 주된 인터페이스가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폴로슈킨은 웹3 환경에 특화된 새로운 AI가 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앞으로는 크립토 친화적인 AI 에이전트가 기존 웹 애플리케이션의 프론트엔드를 대체할 수 있다”며 기술 진화의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처럼 업계는 암호화폐의 인센티브 구조가 차세대 AI 시스템 발전에 긍정적인 촉매로 작용할 수 있다는 데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AI 생태계의 효율적인 확장을 위해 블록체인 기술이 전략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