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베이스, USDC 선물 시장 증거금 도입…미국 규제 정비 신호탄

BTCC

코인베이스($COIN)의 최고경영자 브라이언 암스트롱(Brian Armstrong)이 미국 금융 시장 중심에서 스테이블코인 도입을 위한 본격적인 행보에 나섰다. 그는 USDC를 미국 선물 거래 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제를 갖춘 최초의 사례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공개하며, 관련된 불확실성을 일단락 지었다.

이번 계획은 코인베이스가 Nodal Clear와 체결한 파트너십을 통해 구체화됐다. 양사는 USDC를 미국 내 규제된 선물 거래의 증거금(collateral)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본격적인 실행은 2025년으로 예정돼 있으며, 이 이니셔티브는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추진되고 있다.

암스트롱은 자신의 SNS에서 “처음으로 미국 선물 시장에서 규제된 스테이블코인이 증거금으로 사용된다”며, 이는 *중대한 진전*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USDC가 *기존 금융 인프라에 자연스럽게 통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발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동시에 코인베이스 커스터디 트러스트(Coinbase Custody Trust)가 해당 자산의 보관을 맡게 되며, 이를 위한 준비는 수년에 걸친 장기 계약하에 이뤄지고 있다. USDC는 그동안 *투명한 준비금 보유 및 지급 능력*으로 주목을 받아왔으며, 이번 제도화 작업을 통해 더 넓은 시장 수용성과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이번 공동 프로젝트의 또 다른 주체인 Nodal Clear는 도이치 뵈르제 산하 유럽에너지거래소(EEX) 그룹 소속의 CFTC 규제 하에 있는 청산기관이다. 업계는 이와 같은 *전통 금융기관의 참여*가 USDC에 대한 신뢰를 높이고, 보다 넓은 기관 투자자의 수요에도 부합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미국 의회에서 스테이블코인을 현금성 자산으로 인정하는 법안 논의가 진행 중인 시점에 맞춘 이 움직임은 시장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던진다. 암스트롱은 USDC를 통한 결제 속도 향상, 담보 최적화, 그리고 규제 준수까지 세 가지 핵심 가치를 제시하며, 이는 미국 내 디지털 자산의 제도화 속도를 한층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협업은 디지털 자산과 전통 금융이 점차 융합하는 과도기 속에서, USDC가 미래 금융 시스템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Related Posts

페페토, 프리세일 마감 후 거래소 상장 앞둬…밈코인 인프라 도전

페페토가 프리세일을 마무리하고 암호화폐 거래소에 곧 상장될 예정이라고 발표했다. '개구리의 신'으로 불리는 페페토는 단순한 밈코인을 넘어 실용적인 생태계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대부분의 밈코인이 단기 투기와 커뮤니티 분위기에만 의존하는 것과 달리, 페페토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밈코인 카테고리의 신규 토큰들을 지원하고 네트워크 간 토큰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페페토는 무수수료 거래소,…

Load More Posts Loading...No More Posts.